| Home | E-Submission | Sitemap | Editorial Office |  
top_img
Audiology and Speech Research > Volume 18(2); 2022 > Article
Kim and Bahng: A Study on Social Support of the Elderly with Normal Hearing and Elderly Wearing Hearing Aids

Abstract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s the social support in both elderly who wear hearing aids and elderly who do not report any hearing loss.

Methods

The study subjects were 48 seniors age 65 or older who wore hearing aids and 48 seniors who did not wear hearing aids. A Lubben social network scales survey was conducted. The Korean Version of International Outcome Inventory for Hearing Aids, Puretone Audiometry, and Word Recognition Score tests were carried out on the elderly who were wearing hearing aids.

Results

A statistical analysis represented that the total social support score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two groups. Of all the social support factors, social network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between the groups (p < 0.05), but social suppor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correlation between social support and the degree of hearing loss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Further, there were no significant relationships found for the social support of older adults’ wearing hearing aids and satisfaction with hearing overall, and the level of social support.

Conclusion

The results of the study indicated that users hearing aid users have a smaller social network than those who do not wear hearing aids. However, this result can be interpreted as an independent factor regarding satisfaction with hearing aid use and the degree of hearing. As a follow-up study, it will be necessary to proceed to study the diversity of the background factors for those elderly who do have hearing loss.

INTRODUCTION

사회적 지지(social support)는 어떤 사람을 둘러싼 중요한 타인과의 관계를 통해 얻어지는 형태로 신체적, 심리적, 정서적으로 중대한 역할을 하며, 이것은 삶에 있어서 긍정적인 자원을 의미한다(Dean & Lin, 1977; Sung et al., 2016). 사회적 지지는 사회관계 속의 정신적, 물질적 도움에서 나타나는 관계와 행동, 자원, 평가 등을 포괄하며 사회관계 속에서 위태로울 수 있는 개인의 정서, 정신 상태를 보호하고 적응을 도와주는 역할을 한다. 즉, 사회적 지지는 사회 환경에서 개인과 집단 간의 끊임없는 상호관계 속에서 개인이 가족, 친구, 이웃 등의 네트워크에서 얻는 금전적, 신체적, 정서적 자원을 의미하며 주로 스트레스 상황에서 적응적 대안 방안을 증진하는 효과가 있다(Dean & Lin, 1977).
노년층의 경우 다른 연령층이 가지는 문제와 더불어 육체적, 정신적 기능이 저하되고 사회활동이 제한되는 경우가 많아 심리적으로 소외를 느끼고 사회와 고립되기 쉽다(Nam et al., 2000). 은퇴 이후의 경제적 상황, 가족과 친구 관계와 노화로 인한 신체적, 심리적 변화를 겪는 노년층의 삶에 사회적 지지는 큰 영향을 끼친다. 사회적 지지를 많이 받는 노인의 경우 삶의 질이 높다는 선행 연구(Hong, 2015; House, 1981; Kim, 2011)의 결과는 사회적 지지가 노인의 사회적 관계와 활동을 나타내는 대표적 요인이며, 노인의 삶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뜻한다(Park & Ra, 2008).
사회적 지지를 구성하는 요인은 다음 3가지로 나눌 수 있다. 첫째, 가족 간 네트워크(family networks)이다. 가족 구성원들 간의 상호작용을 통해 사랑하고 존중하며, 돌봐 주고, 가치감을 갖도록 해주는 것을 가족 간 네트워크라고 하며(Hymovich, 1974), 노인에게 가족 간의 강한 유대관계는 중요한 지지이며 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노인에게 가족 간의 강한 유대관계는 가장 중요한 지지로 가족 간의 유대가 강하면 우울을 저하시켜 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큰 영향을 미치며(Kim et al., 2015; Lee & Kim, 2017), 노인과 자녀 간의 애정, 의사소통 등의 질적 수준이 높을수록 삶의 만족도가 높다고 보고하였다(Kwon & Cho, 2000). 또한, 독거노인의 심리적 소외감과 외로움으로 가족과 동거하는 노인보다 신체적, 정서적, 경제적 어려움을 보이고 타인과의 상호관계도 제한적이다(Won & Kim, 2008).
둘째는 친구 간 네트워크(friends network)이다. 가족뿐만 아니라 친구, 이웃도 중요한 사회적 지지자들이다. 친구 간 네트워크에서는 개인에게 정서적, 물질적 도움을 줄 뿐만 아니라 상호작용을 통해 교제 및 정보의 교환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멀리 사는 자녀나 친인척과 달리 쉽게 교류가 가능하며 신체적 기능 저하로 이동이 힘든 노인에게 중요한 기능을 한다(Bae, 2004; Nocon & Pearson, 2000). 선행 연구에 따르면 친구 간 네트워크가 넓을수록 삶의 만족도 수준이 높으며(Kwon & Cho, 2000), 친구의 지지가 생활 만족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So, 2007).
마지막으로 상호의존적 사회적 지지(interdependent social supports)이다. 상호의존적 사회적 지지는 기존 알고 지내던 타인과의 관계 속에서 신체적, 정서적으로 얼마나 많은 도움을 주고 받는지에 대한 것이며, 상호작용을 강조한 사회적 지지를 뜻한다(House, 1981). 자신이 타인에게 도움을 줄 수 있고 타인을 위해 일정한 역할을 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독거노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는 상호의존적 사회적 지지가 높은 노인이 그렇지 않은 노인보다 사별 경험을 많이 인식함에 따른 부정적 영향을 덜 받는다고 보고하였으며(Lee et al., 2018), 이러한 결과는 노인의 삶에서 상호의존적 사회적 지지가 중요한 요인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사회적 지지는 의사소통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 난청으로 인하여 많은 영향을 받을 수 있다. 노인성 난청(agerelated hearing loss, presbycusis)은 노인의 질환 중 관절염 다음으로 흔한 질병(Huang & Tang, 2010)으로 난청 환자 중 80%가 65세 이상의 노인이다. 노인성 난청의 경우 다른 연령층에 비해 출현율이 4배 이상 높으며(Davis, 1990), 연령이 증가하면서 난청의 유병률은 높아진다(Cruickshanks et al., 2010). 난청은 사람들과의 의사소통에 많은 영향을 주기 때문에 타인과의 접촉을 줄어들게 만들고 그로 인해 인간관계가 멀어진다는 느낌을 받게 될 수 있다. 난청으로 인하여 상대방의 초대를 거절하게 되고, 외부의 방문, 예를 들어 교회, 영화관 등의 방문도 줄어들게 된다(Arlinger, 2003). 난청은 치매 유병을 높이고(Lin et al., 2011), 어지럼증과 이명까지 동반되어 불안과 우울을 발생시켜 사회기술을 습득하는 데 어려움을 겪게 하여(Carlsson et al., 2011) 사회적 역할 실패로 자아존중감이 낮아지게 한다(Monzani et al., 2008). 또한 낮은 자존감으로 인해 사회 연결망의 부재로 이어져 고독감을 발생시킨다(Weiss, 1975). 따라서 청력 저하는 삶의 질을 낮추고 사회적 기능에 영향을 주어 부정적 대인관계, 우울증을 겪게 하는(Mener et al., 2013) 요인이 될 수 있다. 난청을 보완하기 위한 보청기와 같은 보장구의 착용으로 삶의 질이 향상될 수 있다(Mondelli & Souza, 2012)는 보고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지체장애, 일반인보다는 삶의 질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Jeong et al., 2013).
본 연구에서는 보청기를 사용하고 있는 난청 노인의 사회적 지지도를 밝히고 현재 보청기를 사용하고 있는 난청 노인과 비난청 노인의 사회적 지지도를 보고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난청 노인의 경우 의사소통의 어려움이 사회적 지지도에 영향을 끼칠 것이라는 가설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난청 노인들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 데 기초가 되는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MATERIALS AND METHODS

연구 대상

본 연구에서는 보청기를 착용하고 매일 적극적으로 사용하고 있다고 보고한 65세 이상(평균 75.96 ± 8.00세)의 노인 48명(남자 22명, 여자 26명)과 보청기를 착용하지 않은 65세 이상(평균 75.21 ± 5.41세)의 노인 48명(남자 13명, 여자 35명)으로 총 96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보청기 착용자 중 한쪽 귀에만 보청기를 착용한 노인은 34명, 양 귀에 보청기를 착용한 노인은 14명이다.
연구 대상에 대한 기본 정보는 다음과 같다. 보청기를 착용하는 65세 노인의 좋은 쪽 귀의 청각 순음 평균 역치(pure-tone average, PTA)는 6분법으로 계산하여 52.77 ± 12.94 dB HL, 단어인지도(word recognition score, WRS)검사 결과는 74.04 ± 22.52점이었다. 좋은 쪽 귀의 청각 순음 평균 역치를 알아본 이유는 양이 청취 시 좋은 쪽 귀에서 더 많은 정보를 취할 수 있다고 판단하여 좋은 쪽 귀의 역치만 보고하였다. 또한 일상생활에서 얼마나 듣기능력이 좋은지 알아보기 위해 단어인지도검사를 실시하였다. 보청기를 착용하는 65세 이상의 노인의 보청기 착용 기간은 평균 28.29 ± 31.6개월이었다.

연구 절차

설문지

Lubben Social Network Scales (LSNS)

Lubben (Lubben, 1988)은 노인 연령층에 적합하도록 LSNS를 개발하였다. LSNS 설문지에서는 사회적 지지도를 가족과의 네트워크(family networks), 친구 간 네트워크(friends networks), 상호의존적 사회적 지지(interdependent social supports) 요인으로 나누어 보았다. 이를 기반으로 Lee et al.(2009)은 한국판 LSNS를 개발하였다. 한국판 LSNS의 경우 사회적 지지를 가족 네트워크와 친구 간 네트워크를 사회적 네트워크로 결합하여 사회적 네트워크와 상호의존적인 사회적 지지 두 가지 요인으로 보았다. 첫째, 사회적 네트워크에 대해서는 사회적 지지인 가족과 친구와의 만남의 횟수와 친밀감을 느끼는 정도를 알아보는 측면 6문항(문항 1-6), 두 번째 상호의존적인 사회적 지지로 사회망을 이루는 사람들 사이의 정신적 그리고 신체적 도움을 주고받는 정도를 알아보는 측면 4문항(문항 7-10)으로 총 10문항으로 구성되었다. 각 문항은 5점 척도를 이용하여 각 문항에 대한 점수는 순차적으로 0, 1, 2, 3, 4, 5점을 주었다. 7번 문항과 9-a의 경우에는 예외적으로 역순으로 점수를 주었으며 9번의 경우 예는 1점, 아니오는 0점을 주었다. 10번 문항은 ‘배우자와 함께 산다’ 4점, ‘배우자 외의 다른 가족이나 친인척 혹은 친구와 산다’를 3점, ‘친구나 친척이 아닌 다른 사람과 함께 산다’를 2점, ‘혼자 산다’를 1점으로 계산하였다. 한국어 LSNS 검사는 Appendix 1에 제시하였다.

Korean version of International Outcome Inventory for Hearing Aids (K-IOI-HA)

보청기를 착용한 노인의 경우, 국제 표준 보청기 효과 지수를 측정하는 K-IOI HA 설문지를 추가적으로 작성하게 하였다(Kim et al., 2018). K-IOI-HA는 총 7개의 문항으로, 각각의 항목은 보청기 착용 후 일상생활에서 보청기 사용시간 (daily use), 이익(benefit), 보청기 사용에 따른 활동(residual activity), 만족도(satisfaction), 남아있는 활동 제한(residual participation restrictions), 타인에 끼치는 영향(impact on others), 삶의 질(quality of life)로 구성되었다. 각 질문 항목은 5개의 보기를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고, 가장 나쁜 결과를 의미하는 보기를 가장 좌측에 배치하여 1점으로 점수화하고, 우측으로 갈수록 점점 긍정적인 의미의 보기를 설정하고 1점씩 더하여 가장 우측의 보기 항목은 5점으로 정하였다. 따라서, 각 질문 항목의 점수는 1점부터 5점까지, 총점은 최소 5점부터 최대 35점까지 표시할 수 있다.

설문지 작성 방법

보청기를 착용한 노인의 경우, LSNS와 K-IOI-HA 설문을 위해 대면 조사를 실시하였다. 한글을 읽지 못하거나 시력 저하로 인하여 설문지를 스스로 작성하기 어려운 경우에는 설문 문항을 읽어주고 대답을 선택하도록 하였다. 참여를 거부하거나 신체적, 인지적 장애가 심하여 설문지에 대답을 할 수 없는 경우는 제외하였다.
보청기를 착용하지 않은 노인의 경우 LSNS 설문을 위해 비대면 조사를 실시하였다. ‘노인의 사회적 지지도 조사’라는 제목으로 온라인 설문지와 서면 설문지를 만들어 대상자들이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진행하였다. 핸드폰 조작이 가능한 노인의 경우 온라인 설문지를 통해 설문 대상이 직접 설문할 수 있도록 설문지 프로그램을 만들고 핸드폰, 컴퓨터, 태블릿에서 모두 이용이 가능하여 어느 상황에서나 온라인 상에서 노인들이 직접 기입할 수 있도록 진행하였다. 보청기를 착용하지 않은 노인의 경우에도 참여를 거부하거나 신체적, 인지적 장애가 심하여 설문지에 대답을 할 수 없는 경우는 제외하였다.

통계 분석

본 연구의 자료는 SPSS version 25.0 통계 프로그램(IBM Corp., Armonk, NY, USA)을 사용하여 보청기를 착용한 노인과 보청기를 착용하지 않은 노인의 사회적 지지도에 대한 차이를 분석하였다. 정규성 분포를 따르지 않았기 때문에 비모수 검정 중 Mann Whitney U test로 분석하였으며, LSNS와 청력과의 관계, LSNS와 K-IOI-HA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스피어만 등위상관계수(Spearman rank order)로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모든 통계량의 유의수준은 p < 0.05로 하였다.

RESULTS

본 연구에서는 보청기를 착용한 노인과 착용하지 않은 노인의 사회적 지지 그리고 보청기 착용 노인의 청력 정도와 보청기 효과 지수가 사회적 지지와 상관성이 있는지에 대하여 설문 및 기본 청력검사를 통하여 알아보았다. 보청기 착용 노인과 정상 청력 노인의 사회적 지지, 사회적 지지 문항에서 사회적 네트워크와 사회적 지지를 나누어 그룹 간 차이를 분석하였고 보청기 착용 노인의 사회적 지지와 청력과의 관계, 보청기 착용 노인의 사회적 지지와 보청기 효과 지수의 관계를 따로 분석하였다.

보청기 착용 노인과 미착용 노인의 사회적 지지

보청기를 착용한 노인과 착용하지 않은 노인의 한국판 LSNS를 사용하여 사회적 지지를 비교하였다. 각 그룹의 결과 보청기를 착용한 노인의 경우, 가족과 친구 간의 만남의 횟수와 친밀감을 느끼는 가족과 친구의 수로 친밀감을 느끼는 정도(social network)는 14 ± 5.63, 사회망을 이루는 사람들 사이의 정서적 신체적 도움을 주고받는 정도(social supports)는 9 ± 3.26으로 LSNS총점은 23 ± 7.87로 나타났고, 보청기를 착용하지 않는 노인의 경우, 사회적 네트워크(social network)는 18 ± 5.22, 사회적 지지(social supports)는 9 ± 2.63으로 LSNS 총점은 27±6.46으로 나타났다.
비교 시 LSNS의 총점과 사회적 네트워크(social network)와 사회적 지지(social supports)를 나누어 Mann-Whitney 검정을 시행하였다. Mann-Whitney 검정 결과, 사회적 지지의 총합은 그룹 간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p = 0.557). 사회적 지지 요인 중 사회적 네트워크(social network)의 경우(p < 0.05)로 그룹 간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나 사회적 지지(social supports)를 두 그룹 간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Figure 1).

보청기를 착용한 노인의 사회적 지지와 청력 관계

보청기를 착용한 노인의 사회적 지지 총점과 좋은 귀 PTA 비교를 위하여 Spearman 검정 계산 결과, 사회적 지지와 청력 간의 상관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아 노인의 청력과 사회적 지지는 서로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p = 0.502).

보청기를 착용한 노인의 사회적 지지와 보청기 만족도와의 관계

보청기를 착용한 노인의 보청기 만족도 결과는 평균 25.02 ± 5.161로 나타났다. 보청기를 착용한 노인의 사회적 지지와 보청기 만족도와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Spearman 검정 계산 결과, 두 관계는 상관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아 보청기 만족도와 사회적 지지는 서로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p = 0.640).

DISCUSSIONS

본 연구에서는 보청기를 착용한 노인과 보청기를 착용하지 않은 노인의 사회적 지지와 보청기를 착용한 노인의 사회적 지지와 청력 그리고 보청기 만족도의 상관관계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장애 노인의 경우 노인 문제와 장애 문제라는 이중적 문제를 가지고 있는 장애요인의 삶의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는 사회적 지지를 들 수 있다(Mendes de Leon et al., 2014; Seo & Lee, 2014). 본 연구에서 65세 이상 노인을 위한 사회적 지지를 알아보는 LSNS 설문지를 통해 보청기를 착용한 노인과 착용하지 않은 노인의 사회적 지지를 분석한 결과, LSNS 총점과 사회망을 이루고 살아가는 사람과의 정서적, 신체적 도움을 주고받는 사회적 지지(social supports)의 경우 보청기를 착용한 노인과 그렇지 않은 노인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그러나 주변 가족과 친구의 수, 전화 통화나 직접 만남의 정도의 사회적 네트워크(social network)에 대해서는 보청기를 착용한 노인과 그렇지 않은 노인의 사이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보청기를 착용한 노인과 보청기를 착용하지 않은 노인의 친구, 가족 간의 관계에 대한 질적 차이는 없었지만 네트워크의 넓이와 같은 양적인 차이가 있다고 해석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청력 저하가 의사소통 실패의 경험과 차별의 감정을 유도하여 사회활동의 참여를 주저하게 하고(Tseng et al., 2018), 사회로부터 관계적 고립과 소외감을 초래하여 청력 저하 노인에게 우울(Kim et al., 2016; Lee & Ha, 2019) 등의 심리적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러한 문제는 보청기를 착용하지 않는 정상 청력의 노인에 비해 사회적 네트워크가 좁아질 수밖에 없는 원인이 될 수 있다. 청력 상실로 인해 언어를 통한 대화 과정이 방해됨으로써 의미 있는 의사소통과 사회 네트워크 형성이 제한된다(Agrawal et al., 2008; Olusanya et al., 2006)는 선행 논문과 동일한 결과이다.
다음으로 보청기 착용 노인만을 대상으로 청력과 사회적 지지도와의 상관관계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보청기를 착용한 노인의 사회적 지지와 청력 간의 관계가 유의미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이 결과는 청력이 좋지 않다고 하여 사회적 지지도가 나빠지는 것은 아니라는 결과이다. 청력이 좋지 않을수록 의사소통 능력은 좋지 않게 되고 그로 인하여 사회적 관계와 사회적 지지에 영향을 있을 것이라고 연구의 가설을 세웠으나 연구의 결과는 본 가설을 뒷받침하지 못하였다. Sung et al.(2016)의 연구에서는 50~94세의 145명의 외로움에 대한 연구를 한 결과 나이가 어릴수록 청력손실이 클수록 외로움의 정도가 심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영향은 우울 증상, 삶의 질, 의사소통의 문제, 감정적 웰빙, 정신건강, 36-Item Medical Outcome Study Short-Form과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물론 외로움과 사회적 관계 정도와 지지 정도는 관계가 있지만 본 연구에서는 직접적으로 외로움과의 관계를 연구하지는 않았지만 청력손실이 클수록 앞에 제시한 요인들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다는 의미는 청력손실이 사회적 관계와 지지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고 해석할 수 있다. 그러나 본 연구에 참여한 대상자들의 경우 청력손실의 정도와 사회적 지지도와의 유의한 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Mick et al.(2014)의 종단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청력이 손실된 노인 집단에서 청력은 사회 고립도(social isolation score)에 중간 정도의 영향이 있었다. 청력손실이 있는 노인은 사회적인 고립이 증가하고 삶의 질 또한 낮아지는 결과를 보였다. 또한 청력의 정도가 심해질수록 사회적 고립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이러한 관계는 60~69세 여성의 집단에서만 유의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많은 수의 참여자가 아니기 때문에 나이별, 성별을 구분하여 분석하지 않아 선행 연구와 일치 여부를 정확히 비교할 수는 없었지만 한 그룹의 경우만이 청력의 손실 정도와 사회적 고립도가 유의하게 상관관계가 있다는 사실은 본 연구의 결과와 부분적으로 일치한다고 할 수 있겠다. 그 이유를 분석해 보면 사회적 네트워크와 사회적 지지는 개인의 성격, 나이, 성별 그리고 문화에 따라 영향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Glass et al., 1997) 청력의 손실 정도 외에 다른 여러 가지 요인들이 영향을 끼칠 수 있었을 것이라 분석하였다.
보청기를 사용하는 노인의 경우 보청기의 만족도가 높아질수록 의사소통을 원활히 할 수 있고 사회적 지지도 또한 높아질 것이라는 가설은 본 연구에서 뒷받침하지 못하였다.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보청기의 사용자의 경우 그렇지 않는 집단에서 사회 네트워크가 좁아지지만 이는 보청기 사용의 만족도와 청력의 정도와는 관계는 독립적 요인이라고 해석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가설을 증명하지 못한 원인으로는 본 연구에 참여한 대상자가 전체 청력손실을 가지고 있는 노인을 대표하지 못했을 가능성도 있다.
이번 연구에 참여한 보청기를 착용한 노인은 사실 보청기를 착용하고 청각재활을 적극적으로 받은 그룹이라고 할 수 있다. 재활을 적극적으로 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사회적 네트워크에서는 정상 청력 노인들과 유의하게 차이가 난 결과는 청각재활 이후 좀 더 적극적인 사회 활동이 필요할 수 있다는 의미이다. 사회적 네트워크의 증가와 인지활동의 증가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다는 선행 연구의 결과는 사회적 네트워크 형성의 중요성을 말해준다(Marioni et al., 2015).
본 연구는 COVID-19로 인한 사회적 거리두기로 인하여 적극적 참여 유도가 어려웠다. 그러므로 참여 대상자 수의 부족으로 인하여 배경 변인을 통제하지 못한 점이 본 연구의 큰 제한점이다. 후속 연구로 난청 노인의 배경요인을 다양하게 고려한 연구의 진행이 필요할 것이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적극적 청각재활의 중요성을 강조하여 난청노인이 보다 건강한 노년의 삶을 살 수 있도록 하는 데 기본이 되는 자료로 쓰일 수 있을 것이다.

Notes

Ethical Statement

This study was approved by the Institutional Review Board of Hallym University of Graduate Studies (HUGSAUD #265830).

Declaration of Conflicting Interests

There is no conflict of interests.

Funding

This work was support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and th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2019S1A5A2A01039904).

Author Contributions

Conceptualization: All authors. Data curation: Do-Yun Kim. Formal analysis: Do-Yun Kim. Funding acquisition: Junghwa Bahng. Project administration: Junghwa Bahng. Supervision: Junghwa Bahng. Visualization: Do-Yun Kim. Writing—original draft: Do-Yun Kim. Writing—review & editing: All authors. Approval of final manuscript: All authors.

Acknowledgments

We thank to all participants.

Figure 1.
Scores of social network, social support, and total in the elderly wearing hearing aids and elderly with normal hearing. Bar means error bar. *p < 0.05. LSNS: Lubben social network scales.
asr-220057f1.jpg

REFERENCES

Agrawal, Y., Platz, E. A., & Niparko, J. K. (2008). Prevalence of hearing loss and differences by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mong US adults: data from the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1999-2004. Archives of Internal Medicine, 168(14), 1522-1530.
pmid
Arlinger, S. (2003). Negative consequences of uncorrected hearing loss--a review. International Journal of Audiology, 42(Suppl 2), 2S17-2S20.
crossref pmid
Bae, J. H. (2004). Social support and life satisfaction of the rural elderly: focusing on the function of support by their children and neighbors. Social Welfare Policy, 20, 197-216.

Carlsson, P. I., Hall, M., Lind, K. J., & Danermark, B. (2011). Quality of life, psychosocial consequences, and audiological rehabilitation after sudden sensorineural hearing loss. International Journal of Audiology, 50(2), 139-144.
crossref pmid
Cruickshanks, K. J., Nondahl, D. M., Tweed, T. S., Wiley, T. L., Klein, B. E., Klein, R., et al. (2010). Education, occupation, noise exposure history and the 10-yr cumulative incidence of hearing impairment in older adults. Hearing Research, 264(1-2), 3-9.
crossref pmid pmc
Davis, A. C. (1990). Epidemiological profile of hearing impairments: the scale and nature of the problem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elderly. Acta Oto-laryngologica. Supplementum, 476, 23-31.
crossref pmid
Dean, A. & Lin, N. (1977). The stress-buffering role of social support. Problems and prospects for systematic investigation. The Journal of Nervous and Mental Disease, 165(6), 403-417.
crossref pmid
Glass, T. A., Mendes de Leon, C. F., Seeman, T. E., & Berkman, L. F. (1997). Beyond single indicators of social networks: a Lisrel analysis of social ties among the elderly. Social Science and Medicine, 44, 1503-1517.
crossref pmid
Hong, S. H. (2015). The effect of social support on elderly women’s quality of life. Korean Family Resource Management Association, 19(2), 1-26.

House, J. S. (1981). Work Stress and Social Support (1st ed). Reading, MA: Addison‐Wesley.

Huang, Q. & Tang, J. (2010). Age-related hearing loss or presbycusis. European Archives of Oto-rhino-laryngology, 267(8), 1179-1191.
crossref pmid pdf
Hymovich, D. P. (1974). Nursing Children: A Family-Centered Guide for Study. Philadelphia, PA: Saunders.

Jeong, S. Y., Im, K. W., & Kim, S. S. (2013). Comparison of the quality of communication life between the physically disabled, the hearing impaired and without disabilities. Journal of Rehabilitation Research, 17(2), 279-297.

Kim, D. W., Lee, T. Y., Choi, D. H., Kim, T. Y., & Moon, H. C. (2016). Risk factors of age-related hearing loss, adults over 65 years in Korea: including the effect of the war participation. Korean Journal of Clinical Geriatrics, 17(2), 68-73.
crossref
Kim, G. G., Lee, E. S., Kim, D. K., & Kim, J. S. (2018). An analysis study of features for hearing aid satisfaction questionnaires: satisfaction with amplification in daily life, client oriented scale of improvement, international outcome inventory for hearing aids. Audiology and Speech Research, 14(3), 158-175.
crossref pdf
Kim, J. I. (2011). General characteristics of senior citizens in the care facilities and influence upon quality of life, their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social support affects. Korean Public Health Research, 37(1), 97-108.

Kim, T. W., Lee, J. M., & Jung, J. W. (2015). A study of elderly poverty and depression: focusing on the multidimensional concept of poverty.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35(3), 71-102.

Kwon, J. D. & Cho, J. Y. (2000). A study of factors influencing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aged. Journal of the Korea Gerontological Society, 20(3), 61-76.

Lee, J. H., Choi, Y. S., & Park, K. S. (2018). The relationship between grief level and suicidal ideation of elderly living alone and the moderation effect of social support. Journal of Agricultural Medicine and Community Health, 43(1), 31-40.

Lee, J. S. & Kim, H. A. (2017). The impact family relationship on life of satisfaction of the elderly: the mediation effect of depression. Korea Society for Wellness, 12(2), 27-36.

Lee, K. W., Kim, S. Y., Chung, W., Hwang, G. S., Hwang, Y. W., & Hwang, I. H. (2009).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Korean version of Lubben social network scale. Korean Journal of Family Medicine, 30(5), 352-358.
crossref
Lee, Y. M. & Ha, E. H. (2019). Effects of hearing handicap on depression and self-efficacy in the elderly at home.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2), 571-579.

Lin, F. R., Metter, E. J., O’Brien, R. J., Resnick, S. M., Zonderman, A. B., & Ferrucci, L. (2011). Hearing loss and incident dementia. Archives of Neurology, 68(2), 214-220.
crossref pmid pmc
Lubben, J. E. (1988). Assessing social networks among elderly populations. Family and Community Health, 11(3), 42-52.
crossref
Marioni, R. E., Proust-Lima, C., Amieva, H., Brayne, C., Matthews, F. E., Dartigues, J. F., et al. (2015). Social activity, cognitive decline and dementia risk: a 20-year prospective cohort study. BMC Public Health, 15, 1089.
crossref pmid pmc pdf
Mendes de Leon, C. F. & Rajan, K. B. (2014). Psychosocial influences in onset and progression of late life disability. The Journals of Gerontology Series B: Psychological Sciences and Social Sciences, 69(2), 287-302.
crossref pmid pmc
Mener, D. J., Betz, J., Genther, D. J., Chen, D., & Lin, F. R. (2013). Hearing loss and depression in older adults. Journal of the American Geriatrics Society, 61(9), 1627-1629.
crossref pmid pmc pdf
Mick, P., Kawachi, I., & Lin, F. R. (2014). The association between hearing loss and social isolation in older adults. Ot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150(3), 378-384.
crossref pmid pdf
Mondelli, M. F. & Souza, P. J. (2012). Quality of life in elderly adults before and after hearing aid fitting. Brazilian Journal of Otorhinolaryngology, 78(3), 49-56.
pmid
Monzani, D., Galeazzi, G. M., Genovese, E., Marrara, A., & Martini, A. (2008). Psychological profile and social behaviour of working adults with mild or moderate hearing loss. Acta Otorhinolaryngologica Italica, 28(2), 61-66.
pmid pmc
Nam, H. S., Son, M. H., Kweon, S. S., Kim, S. Y., Park, H. C., Lee, C. W., et al. (2000). Chronic disease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an urban elderlies. Journal of the Korean Geriatrics Society, 4(3), 172-190.

Nocon, A. & Pearson, M. (2000). The roles of friends and neighbours in providing support for older people. Ageing and Society, 20(3), 341-367.
crossref
Olusanya, B. O., Ruben, R. J., & Parving, A. (2006). Reducing the burden of communication disorders in the developing world: an opportunity for the millennium development project. JAMA, 296(4), 441-444.
crossref pmid
Park, H. S. & Ra, D. S. (2008). The effect of social support on the life satisfaction of older workers-focus on the empowerment as a mediator. Journal of Welfare for the Aged, 40, 147-172.

Seo, I. K. & Lee, Y. S. (2014). An exploratory study on the influence of social support and community environment on elderly self-esteem: a comparative study on people who live alone and those who live with family. Korean Journal of Local Government and Administration Studies, 28(2), 371-399.

So, K. S. (2007). A study on the social support and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in urban-rural complex city. Journal of Welfare for the Aged, 38, 7-30.

Sung, Y. K., Li, L., Blake, C., Betz, J., & Lin, F. R. (2016). Association of hearing loss and loneliness in older adults. Journal of Aging and Health, 28(6), 979-994.
crossref pmid pdf
Tseng, Y. C., Liu, S. H., Lou, M. F., & Huang, G. S. (2018). Quality of life in older adults with sensory impairments: a systematic review. Quality of Life Research, 27(8), 1957-1971.
crossref pmid pdf
Weiss, R. S. (1975). Loneliness: The Experience of Emotional and Social Isolation (1st ed). Cambridge: The MIT Press Classics.

Won, J. S. & Kim, K. H. (2008). Evaluation of cognitive functions, depression, life satisfaction among the elderly receiving visiting nursing servic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8(1), 1-10.
crossref pmid

APPENDICES

Appendix 1.

한국어판 Lubben social network scales (LSNS) 설문지
asr-220057-app.pdf
Editorial Office
RN. 8602, Hallym University,
1 Hallymdaehak-gil, Chuncheon-si, Gangwon-do 24252, Korea
TEL: +82-70-8274-4268   FAX: +82-33-256-3420   E-mail: audiologykorea@gmail.com
About |  Browse Articles |  Current Issue |  For Authors
Copyright © Korean Academy of Audiology.                 Developed in M2P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