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E-Submission | Sitemap | Editorial Office |  
top_img
Audiology and Speech Research > Volume 19(1); 2023 > Article
Cho and Kim: A Study on Research Trends in 『Audiology and Speech Research』 Using Keyword Network Analysis

Abstract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search trends of papers published in ‘Audiology and Speech Research’ and to obtain implications for the direction of research.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2005 to 2022 articles 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 (RISS) which is provided by Korea education and Korea Citation Index (KCI). After extracting and cleansing keywords, the frequency, centrality, and visualization data analysis for keywords were performed using KrKwic & NodeXL programs.

Result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keyword frequency analysis, ‘hearing aid’ showed the highest frequency, followed by ‘hearing loss’, ‘noise’, and ‘cochlear implant’, etc. As a result of the keyword centrality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centrality was particularly high in ‘hearing aid’, ‘hearing loss’, ‘word recognition’, ‘cochlear implant’, ‘sensorineural hearing loss’, ‘auditory training’, ‘aural rehabilitaion’.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provide useful data for understanding current research trends in ASR and further suggesting new research directions in the field of audiology and speech pathology.

INTRODUCTION

최근 사회의 고령화와 산업화의 결과로 노인 인구의 증가, 소음노출, 각종 질병 등이 발생하여 난청 인구가 지속적인 증가 추세를 보임에 따라 난청인에 대한 상담 및 청력 평가, 보장구 적합, 청능 훈련 및 사후 관리 등의 전문 분야를 다루는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Lee et al., 2017). 이와 관련하여 한국청각언어재활학회는 2005년에 전문학술지인 『청능재활(Audiology)』을 창간하여 청각학의 학문적 발전, 청각·언어장애 분야의 교육과 연구, 국제적 협력 등을 통하여 국민의 복지와 건강에 기여하고 있다. 『청능재활(Auiology)』 학술지는 2010년에 한국연구재단의 학술지평가에서 등재후보학술지로 선정되었고, 2013년에 등재학술지로 승격되어 학술적 가치와 전문성을 인정받았다. 2016년에는 학술지명이 『청능재활(Auiology)』에서 영문명인 『Audiology and Speech Research(이하 ASR)』로 변경되었고 2019년 SCOPUS 등재지로 선정되어 국제전문학술지로서의 영향력을 높여가고 있으며, 2022년 10월까지 총 475편의 논문이 발간되어 우리나라 청각학 및 청각·언어장애와 관련된 연구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연구동향 분석은 연구자가 연구 주제, 연구 영역, 연구 대상, 자료 수집 및 분석 방법 등의 측면에서 범주를 구분하고, 해당 범주를 기반으로 기존의 선행 연구를 고찰 및 분석함으로써 향후 연구 방향이나 연구 과제와 관련된 기본적인 자료를 제공할뿐만 아니라, 다양한 연구 활동을 촉진한다는 점에서 학문적인 기여도가 높은 연구 방법이다(Heeks & Balur, 2007; Kim et al., 2015; Yang, 2019). 또한 연구 대상이나 개념의 변화 양상을 거시적으로 확인할 수 있어서 다양한 연구의 기초자료가 될 수 있다(Lee, 2005). 특히 학술지 게재 논문들에 대한 연구동향 분석은 그동안 축적된 다양한 연구의 성과를 체계적으로 고찰하는 과정을 통하여 학계의 학문적 발전과 향후 연구 방향 및 학술지의 정체성을 수립하는 데 많은 도움을 제공할 수 있고, 체계적인 연구 활동을 위한 기본 토대가 된다는 점에서 중요하다(Cho, 2011; Yi & Kim, 2017). 따라서 학술지에 대한 연구동향 분석은 주기적이고, 지속적으로 진행되어야 한다(Yang, 2019).
기존의 연구동향 분석 연구는 연구자가 의미 있는 주제를 설정하고 그 주제에 따라 논문을 범주화하여 그 내용을 고찰하는 방법인 내용 분석(content analysis)을 주로 활용하였다. 이 방법은 서적, 학회지, 광고 메시지, 문서, 신문사설, 뉴스, 월간지, 노래 등의 다양한 커뮤니케이션 매체들을 통해서 나타나는 내용들을 일정한 준거를 통해 객관적이고 체계적으로 분석하는 연구기법으로 연구자의 심도 있는 해석과 고찰을 토대로 연구 분야의 특정한 현상에 대한 지식과 이해를 증진하는 데 유용하다(Downe-Wamboldt, 1992; Ko & Yang, 2016). 하지만 연구자의 관점과 수준에 따라 해석이나 고찰 내용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연구자의 주관성 통제에 어려움이 있다(Ahn & Yang, 2020). 또한 기존 분류 중심의 내용 분석은 정량적인 자료를 분석함으로써 비정형화된 자료 분석 방법으로 얻을 수 있는 주제어 간의 상호작용인 연구 주제나 연구 내용 간의 관계성 등과 같은 다양한 의미들을 간과할 수 있는 제한점이 있다(Cho & Cho, 2017). 이에 최근에는 일반 교육학이나 사회과학 분야 등 다양한 영역에서 연구의 객관성을 높이기 위한 목적으로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keyword network analysis)을 많이 사용하고 있다(Park, 2018).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은 특정 학문 분야에 대한 연구동향을 분석하고자 할 때 일반적으로 적용되고 있는 키워드에 대한 네트워크 분석을 의미한다(Lim & Yi, 2021). 이 때 네트워크란 노드(node)와 링크(link)의 구조화된 연결 관계를 의미하며, 연구동향 분석 연구에서 노드는 키워드를, 링크는 키워드와 키워드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연결선을 의미한다(Park, 2018).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은 키워드의 ‘위치’, ‘연결 관계’ 및 ‘구조’를 네트워크로 시각화해서 제시하기 때문에 키워드 간의 상호관련성, 유사성 및 공동의미 구성 등을 파악하여 연구 분야의 핵심 연구주제나 학문적 흐름을 거시적 관점에서 파악하는 데 유용하다고 볼 수 있다. 시각화와 더불어 중요한 개념이 중심성(centrality)으로 이는 한 노드가 전체 네트워크에서 중심에 위한 정도를 표현하는 지표로써, 어떤 노드가 주목을 받는지 그리고 각 노드들이 그 ‘중심’에 얼마나 접근하고 있는지를 나타낸다(Lee, 2014). 중심성 지표의 종류에는 연결 중심성(degree centrality), 매개 중심성(betweenness centrality), 근접 중심성(closeness centrality), 고유벡터 중심성(eigenvector centrality)이 있다(Lim et al., 2020). 첫째, 연결 중심성은 키워드 간의 연결된 정도로 한 키워드에 연결된 다른 키워드가 얼마나 되는지를 알려주는 지표를 나타내며, 값이 클수록 네트워크에서 핵심적인 키워드로서의 중요성을 가진다. 둘째, 매개 중심성은 특정 키워드가 다른 키워드 사이에서 어느 정도의 매개 역할을 담당하는지 그 정도를 의미하며, 값이 클수록 서로 다른 주제어들 간의 연결 관계에서 매개 역할을 하는 정도가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 근접 중심성은 키워드 간의 최단거리의 합으로 키워드가 얼마나 중앙에 위치하고 있는지 그 정도로 값이 크다는 것은 다른 키워드보다 해당 연구 분야에서 가장 핵심의 위치에 놓일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마지막으로 고유벡터 중심성은 해당 키워드가 연결된 다른 키워드의 연결 관계까지를 고려한 지표로 연결된 키워드가 얼마나 중요한지 다른 노드의 중심성을 반영해서 계산한다(Cho & Cho, 2017). 또한 연결 중심성이 동일한 키워드라도 연결되어 있는 다른 키워드의 2차 연결 정도에 따라 고유벡터 중심성은 다른 값을 나타내게 된다(Ju & Lee, 2019).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하여 특정 전문 학술지에 대한 연구동향을 분석한 선행 연구에는 ‘상담학 연구’(Cho & Cho, 2017), ‘언어치료연구’(Park, 2018), ‘지적장애연구’(Yi & Kim, 2017), ‘열린유아교육연구’(Yang, 2019), ‘특수교육연구’(Yi & Park, 2019), ‘정서·행동장애연구’(Yang & Lee, 2021),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연구’(Kim, 2021), ‘한국사회복지학(Kim & Chung, 2022) 등이 있다. 그 외 특정 학문 분야나 주제에 대한 연구동향 분석에 키워드 네트워크를 활용한 선행 연구에는 문헌정보학(Cho, 2011), 교육학(Cho & Kim, 2016), 지적장애(Yi & Cha, 2018), 유아문학교육(Ju, 2020), 작업치료(Oh et al., 2021), 예술심리치료(Moon & Nam, 2022) 등이 있다. 그중 청각장애와 관련된 연구동향 분석 중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연구를 살펴보면, Park(2018)은 2007~2016년까지 발간된 청각장애 분야 학술지에서 제시된 주제어를 대상으로 빈도 분석 및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 연구를 진행한 바 있고, 동일한 연구자인 Park(2021)은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과 문헌 분석을 통해 2011~2018년까지 시행된 국내의 인공와우이식 관련 연구동향을 분석하였다. 또한 Lim & Yi(2021)는 2000~2019년까지 국내외 학술지에 게재된 청각장애 관련 음악연구 논문을 대상으로 언어 네트워크 분석을 진행한 바 있다.
이에 올해로 창간 17주년을 맞는 ASR 학술지에 대한 연구동향 분석은 향후 관련 분야의 교육과 연구 방향 및 학술지의 정체성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는 데 꼭 필요한 연구라고 생각하지만, 학술지 자체에 대한 연구동향 분석은 아직 이루어지지 않았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한국청각언어재활학회가 2005년부터 2022년 10월까지 발간한 ASR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의 주요 키워드 간의 관계를 분석하여 향후 연구방향과 과제에 대한 기초자료와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한 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ASR 학술지에 게재된 연구들의 주요 키워드는 무엇인가? 둘째, ASR 학술지에 게재된 연구들의 키워드 네트워크의 구조적 형태와 특성은 어떠한가?

MATERIALS AND METHODS

연구 대상

본 연구의 분석 대상은 한국청각언어재활학회에서 현재 연 4회 발간하는 ASR 학술지이다. 분석 대상 연구 논문은 한국학술지인용색인(KCI)과 한국연구정보서비스(RISS)를 활용하여 ASR 학술지를 검색하였으며, 누락 및 중복된 논문을 다시 확인한 후 총 475편의 연구 논문을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분석 대상의 연도별로 발행된 연구 논문의 현황은 다음 Table 1과 같다.

연구 절차

본 연구는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하여 연구동향을 분석한 선행 연구(Cho & Cho, 2017; Kim & Chung, 2022; Kim, 2021; Lee et al., 2017; Moon & Nam, 2022; Park, 2017; Yang, 2019; Yang & Lee, 2021)를 참고하여 연구 논문에 제시된 초록의 키워드를 중심으로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였다.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은 분석 대상인 키워드 추출과 추출한 키워드의 정제 과정이 중요한데, 특히 키워드 간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객관적인 키워드 추출, 일관성 유지 및 키워드 정제 과정이 반드시 이루어져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ASR 논문의 대부분이 한글로 작성되었으므로 키워드의 의미 전달을 명확하게 하기 위하여 한글 키워드를 중심으로 추출하였으며, 영어 키워드만 제시된 경우 각 논문의 내용을 대조하고 Lee et al.(2014)의 ‘청각학 용어집’에 근거해서 한글로 번역하는 과정을 거쳤다. 또한 한글로 번역이 어렵거나 고유명사의 영어 키워드인 경우에는 그대로 원어를 사용하여 키워드 추출 과정에서 객관성과 일관성을 확보하고, 연구자의 주관성을 최소화하기 위해 노력하였다(Lee, 2014). 키워드 정제 과정에서는 분석 프로그램에서 인식할 수 있도록 키워드의 띄어쓰기는 붙여쓰기로 변환하였고, 동의어와 유사어를 통합하는 등 3차례에 걸쳐 키워드를 정리하였으며 이 과정에서 청각학 전공 박사학위자의 자문을 거쳤다. 정제된 키워드 내용은 Appendix 1에 제시하였다.
이후 KrKwic 프로그램(Park, 2005; Park & Leydesdorff, 2004)에서 Krwords.exe를 실행하여 최종 정제된 키워드를 추출하고 출현 빈도를 산출하였다. 추출된 단어들의 네트워크 분석을 위해서는 행렬(matrix)을 생성해야 하는데, 이때 유의미한 네트워크 분석을 위해 3회 이상 출현한 키워드만 선택해서 1-mode 네트워크 행렬을 생성한 후 NodeXL 프로그램(Social Media Research Foundation, Redwood City, CA, USA)을 통해 중심성 분석 및 네크워크 시각화 작업을 진행하였다(Cho & Cho, 2017).

자료 분석

ASR 학술지의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위해 사용된 분석 도구는 KrKwic (Korean key words in context) 프로그램과 NodeXL 프로그램이었다(Park & Leydesdorff, 2004; Park, 2017; NodeXL Korea, 2015). KrKwic 프로그램은 언어 네트워크 분석 도구로서 텍스트에 출현한 단어들의 빈도 분석 및 단어들 간의 관계를 행렬로 나타내어 중심성 분석을 할 수 있도록 해준다. 또한 NodeXL 프로그램은 텍스트를 분석한 행렬 매트릭스 결과를 시각화하고 주요 지표와 통계값을 산출해 주는 네트워크 분석 도구로 주요 지표인 연결 중심성, 근접 중심성, 매개 중심성, 고유벡터 중심성의 값을 산출해 주며, 각 노드 간 인접 및 연결되어 있거나 같은 경로를 갖는 노드를 그룹핑해 주는 Wakita-Tsurumi 알고리즘 클러스터링 분석이 가능하다.

RESULTS

키워드 빈도 분석

2005년부터 2022년까지 ASR 학술지에 게재된 연구 논문의 초록에서 추출한 키워드는 총 1,986개였으며, 이를 토대로 정제 작업을 거쳐 1,100개의 주요 키워드를 추출하였다. 이 중 3회 이상 출현한 키워드는 총 111개로 Table 2에 제시하였다. 가장 높은 출현 빈도를 보인 키워드는 ‘보청기’로 59회였으며, ‘난청’, ‘소음’, ‘인공와우’가 각각 33회, ‘청능훈련’ 29회, ‘이명’ 28회, ‘청능재활’ 26회, ‘단어인지’와 ‘이음향방사’는 각 19회 등의 순으로 주요 키워드가 나타났다. 이외 2회 이하로 출현한 키워드는 Appendix 2에 제시하였다.

키워드 중심성 분석

ASR 학술지의 연구 논문 초록에서 제시한 키워드 간의 관계 분석을 위해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고, 중심성 분석과 네트워크 시각화를 실시하였다. 키워드 중심성 분석 결과는 Table 3과 같다.
키워드 중 연결 중심성, 매개 중심성, 근접 중심성, 고유벡터 중심성이 가장 높은 키워드는 ‘보청기’로 ASR 학술지에서 가장 주요하게 다루어진 키워드라고 할 수 있다. 이외에 중심성 분석 결과를 상위 10개 키워드 내외로 살펴보면, 연결 중심성이 높은 키워드는 ‘난청’, ‘단어인지’, ‘인공와우’, ‘감각신경성난청’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신호대잡음비’와 ‘아동’, ‘청능훈련’과 ‘청능재활’, ‘소음’과 ‘문장인지’와 ‘이명’은 각각 동일한 수준이었다. 매개 중심성이 높은 키워드는 ‘난청’, ‘인공와우’, ‘단어인지’, ‘아동’, ‘이명’, ‘청각장애’, ‘청능훈련’, ‘청능재활’, ‘감각신경성난청’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근접 중심성이 높은 키워드는 ‘난청’과 ‘인공와우’는 동일한 수준이었으며, ‘청능재활’, ‘단어인지’, ‘아동’, ‘신호대잡음비’, ‘청능훈련’, ‘소음’, ‘감각신경성난청’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고유벡터 중심성이 높은 키워드는 ‘신호대잡음비’, ‘단어인지’, ‘난청’, ‘감각신경성난청’, ‘인공와우’, ‘청능훈련’, ‘소음’, ‘청능재활’, ‘노인성난청’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111개의 키워드를 중심으로 행렬을 구한 뒤 연결 중심성을 기준으로 NodeXL을 활용하여 네트워크 시각화를 실시한 결과는 다음 Figure 1과 같다. 시각화한 자료를 보면, 중심성 분석 결과와 같이 ‘보청기’와 ‘난청’ 키워드가 가장 중심부에 위치하고 있고, ‘단어인지’, ‘인공와우’, ‘감각신경성난청’ 등의 키워드가 비슷한 위치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키워드 네트워크 시각화 자료를 Wakita-Tsurumi 알고리즘 클러스터 방식으로 그룹화하여 분석하면, 다음 Figure 2와 같이 나타났으며 총 12개의 그룹으로 구성되었다. 그룹 간에 연결되어 있는 선은 두꺼울수록 연결된 그룹의 연결 정도가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G1은 ‘보청기’를 중심으로 ‘감각신경성난청’, ‘압축역치’, ‘보청기적합’ 등과 같은 키워드를 공유하고 있었으며, G2, G3, G5, G7, G8, G9와 연결성을 많이 가지고 있었다. G2는 ‘인공와우’를 중심으로 ‘아동’, ‘청능재활’, ‘말지각’ 등 같은 키워드를 공유하고 있었으며, G1, G3, G4, G5, G6, G7, G8, G9와 연결성을 많이 가지고 있었다. G3은 ‘단어인지’를 중심으로 ‘문장인지’, ‘어음인지역치’, ‘어음청각검사’ 등과 같은 키워드를 공유하고 있었으며, G1, G2, G5, G7, G8, G9와 연결성을 많이 가지고 있었다. G4는 ‘이명’을 중심으로 ‘소리치료’, ‘이명장애지수’, ‘이명재활’ 등과 같은 키워드를 공유하고 있었으며, G1, G2, G5, G7과 연결성을 많이 가지고 있었다. G5는 ‘청능훈련’을 중심으로 ‘노인성난청’, ‘작업기억’, ‘청각학’ 등과 같은 키워드가 공유되고 있었으며, G1, G2, G3, G4, G6, G7과 연결성을 많이 가지고 있었다. G6은 ‘노인’을 중심으로 ‘인지’, ‘노화’, 의사소통‘, ‘집행기능’, ‘알츠하이머병’ 등과 같은 키워드를 공유하고 있었으며, G2, G5, G7과 연결성을 많이 가지고 있었다. G7은 ‘난청’을 중심으로 ‘소음’, ‘소음성난청’, ‘소음노출’, ‘군(軍)’ 등의 키워드를 공유하고 있었으며, G1, G2, G3, G4, G5, G6, G8, G9와 연결성을 많이 가지고 있었다. G8은 ‘어음인지’를 중심으로 ‘역동범위’, ‘주파수중요함수’, ‘어음명료지수’, ‘음량증가’ 등과 같은 키워드를 공유하고 있었으며, G1, G2, G3, G7과 연결성이 높았다. G9는 ‘신호대잡음비’를 중심으로 ‘자모음비’, ‘무의미음절’ 등과 같은 키워드를 공유하고 있었으며, G1, G2, G3, G7과 연결성을 많이 가지고 있었다. G10은 ‘검사-재검사신뢰도’, G11은 ‘표준’, G12는 ‘한국어단음절숫자’ 키워드가 단독으로 위치하고 있었다.

DISCUSSIONS

본 연구는 ASR 학술지의 연구 논문 초록에서 제시한 주요 키워드 간의 관계를 분석하여 향후 연구 방향과 과제에 대한 기초자료와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05년부터 2022년까지 발간된 475편의 연구 논문의 주요 키워드를 중심으로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주요 연구 결과를 중심으로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ASR 학술지의 키워드에 대한 출현 빈도를 분석한 결과, 본 연구에서 2005년부터 2022년까지 ASR 학술지에 게재된 연구 논문에서 추출한 키워드는 총 1,986개였으며, 이를 토대로 정제 과정을 거쳐 1,100개의 주요 키워드를 추출하였다. 그 결과, 3회 이상의 주요 출현 빈도를 보인 키워드는 111개였으며, 상위 10위에 해당하는 키워드는 보청기(59회), 난청(33회), 소음(33회), 인공와우(33회), 청능훈련(29회), 이명(28회), 청능재활(26회), 단어인지(19회), 이음향방사(19회), 신호대잡음비(18회), 아동(17회) 순으로 분석되어 대부분 청각학이나 청각장애와 관련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2007년부터 2016년까지 국내 청각장애 관련 연구 동향 분석(Park, 2018)에서 제시한 청각장애, 인공와우이식, 농, 학생, 수어, 아동, 난청, 의사소통, 대학생, 보청기 등의 상위 10위에 해당하는 키워드와 일부 유사하다고 볼 수 있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청능재활과 청능훈련의 중요성을 감안하여 이 두 개의 키워드를 나누어 분석하였지만, 유사어로 함께 분석해 본다면 출현 빈도가 가장 높은 키워드는 보청기(59회)이고, 그 다음이 바로 청능훈련의 개념을 포함하는 ‘청능재활(55회)’로 나타나 청각학 분야에서 중요한 연구주제라고 볼 수 있다. 다만, 출현 빈도가 2회 이하인 키워드는 약 989개(89.9%)로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는데, 이는 ASR 학술지의 연구 주제가 다양한 분야에 분포하고 있음을 의미하며, 이와 같은 출현 빈도가 낮은 키워드 주제에 대한 심도 있는 고찰을 통해 새로운 연구 방향을 모색해 볼 필요가 있다.
둘째, 중심성 분석은 한 분야의 연구동향과 타 학문과의 통섭을 위한 연구 주제나 내용을 파악하는 데 매우 유용한데(Kho et al., 2013), ASR 학술지의 키워드에 대한 중심성 분석 결과를 지표별로 세분화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연결 중심성은 하나의 키워드와 직접 연결된 다른 키워드와의 연결 정도를 의미하며, 다른 키워드들과 같이 많이 사용될수록 연결 중심성 값이 높게 도출되는 특성을 보인다. 즉 키워드와 키워드 간의 조합은 연구 주제가 되며, 연결 중심성이 높은 키워드의 경우 논문 내에서 다른 키워드와 함께 많이 사용된다는 것을 의미한다(Kho, 2014). 따라서 연결 중심성이 높은 단어는 당시 최신 연구동향을 파악하는 척도로 볼 수 있다(Kho et al., 2013). 본 연구에서 연결 중심성이 가장 높은 키워드는 ‘보청기’였고, 그 다음이 ‘난청’, ‘단어인지’, ‘인공와우’, ‘감각신경성난청’의 순이었다. 그 외 ‘신호대잡음비’와 ‘아동’, ‘청능훈련’과 ‘청능재활’, ‘소음’, ‘문장인지’와 ‘이명’은 각각 동일한 수준으로 이러한 키워드들은 ASR 학술지 논문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 연구 주제라고 볼 수 있다. 매개 중심성이 가장 높은 키워드 역시 ‘보청기’였으며, 그 다음이 ‘인공와우’, ‘단어인지’, ‘아동’, ‘이명’ 순이었고, 그 외 ‘청각장애’, ‘청능훈련’, ‘청능재활’, ‘감각신경성난청’ 등도 매개 중심성이 높은 키워드에 해당된다. 이런 매개 중심성이 높은 키워드는 상이한 연구 주제 간의 관계를 연결해주는 역할을 많이 하며, 다양한 연구 주제를 통합하거나 다학제적 접근을 통한 융·복합 연구를 적용할 때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Kang et al., 2018). 근접 중심성의 경우, 그 수치가 높으면 키워드가 네트워크의 중간에 위치하게 되고, 지금까지 연구가 활발히 진행된 주제를 의미하며 전반적인 연구 흐름을 파악하는 데 유용한 지표로 활용될 수 있다(Park, 2018). 본 연구에서 근접 중심성이 가장 높은 키워드는 ‘보청기’였으며, ‘난청’과 ‘인공와우’는 동일한 수준으로 높았다. 그 외 ‘청능재활’, ‘단어인지’, ‘아동’, ‘신호대잡음비’, ‘청능훈련’, ‘소음’, ‘감각신경성난청’ 등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키워드들은 지금까지 ASR 학술지 논문에서 중요한 연구 주제로 인식되었다고 볼 수 있다. 반대로 근접 중심성의 수치가 낮으면, 연구가 비교적 덜 진행이 되었다는 의미로 앞으로 연구가 더 필요한 주제라고 생각할 수 있다(Kwon, 2016). 본 연구 결과에서 근접 중심성이 낮은 키워드 중 시대적인 연구 상황을 고려한다면, 향후 ‘중추청각처리검사’, ‘시간정보처리능력’, ‘이명재활’, ‘소리치료’, ‘이명장애지수’, ‘지적장애’ 등의 키워드를 중심으로 한 다양한 연구를 더 진행할 필요가 있겠다. 마지막으로 고유벡터 중심성은 한 키워드에 연결된 다른 키워드의 개수뿐만 아니라, 그 키워드가 얼마나 중요한지도 함께 고려한 지표로 연결 중심성의 개념을 확장한 것이다(Choi & Kim, 2015). 그러므로 고유벡터 중심성이 높은 키워드일수록 영향력 있는 다른 키워드들과 긴밀하게 연관되어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본 연구 결과에서 고유벡터 중심성이 가장 높은 키워드는 연결 중심성과 마찬가지로 ‘보청기’였으며, 그 다음이 ‘신호대잡음비’, ‘단어인지’, ‘난청’, ‘감각신경성난청’, ‘인공와우’, ‘청능훈련’, ‘소음’, ‘청능재활’, ‘노인성난청’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 중 ‘신호대잡음비’는 연결 중심성 순위는 6위였지만, 고유벡터 중심성은 2위로 나타나 영향력이 높은 다른 키워드들과의 연관성이 높다고 볼 수 있다.
이상의 중심성 분석 결과를 종합해서 살펴보면, 키워드 중 ‘보청기’, ‘난청’, ‘단어인지’, ‘인공와우’, ‘감각신경성난청’, ‘청능훈련’, ‘청능재활’은 연결 중심성, 매개 중심성, 근접 중심성, 고유벡터 중심성 모두 상위 10위 이내에 위치하고 있으며, 출현 빈도 역시 높게 나타났다. 그러므로 이러한 키워드 주제는 ASR 학술지 논문에서 중요한 분야로 이슈화되었으며, 관련된 다양한 연구를 통해서 많은 연구 성과가 나타났다고 볼 수 있다.
키워드의 연결 중심성을 기준으로 네트워크 시각화를 실시한 결과, 중심성 분석 결과와 같이 ‘보청기’와 ‘난청’ 키워드가 가장 중심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노드의 크기가 크고 진하게 보이고 있다. 그 외 ‘단어인지’, ‘인공와우’, ‘감각신경성난청’ 등의 키워드도 비슷하게 중심부에 분포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시각화 자료에서 키워드와 키워드 간의 연결선이 두껍고 진할수록 동시 출현 빈도가 높고 이는 자주 함께 연구되는 키워드라는 것을 의미한다(Lee, 2014).
네트워크를 시각화해서 클러스터 방식으로 그룹화한 결과, 12개(G1~G12)의 그룹으로 유목화되었는데, G10~G12는 다른 그룹과의 연결성이 없이 단독으로 위치하고 있으므로 ASR 학술지의 경우 9가지 핵심 연구 주제로 연구가 진행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네트워크 시각화 자료에서 그룹 내 키워드는 키워드 간에 어느 정도의 유사성을 보이며, 연구 논문에서 주로 함께 사용한 키워드들로 연구 주제의 연결성을 나타내기 때문에 연구 동향을 파악하는 데 유용할 뿐만 아니라, 관련 분야 연구자들이 연구 주제를 어떻게 파악하는지를 나타내는 지식 구조를 반영한다고 볼 수 있다(Cho & Cho, 2017). 예를 들면 G1은 ‘보청기’를 중심으로 감각신경성난청, 압축역치, 이득, 보청기적합공식 등과 같은 키워드를 같이 공유하고 있어서 서로 관련성을 나타내고 있다고 볼 수 있다. 그룹 간 비교에서는 연결되어 있는 선이 두꺼울수록 그룹 간의 연결 정도가 높다는 것을 의미하는데, 예를 들면, G1(‘보청기’를 중심으로 ‘감각신경성난청’, ‘압축역치’, ‘보청기적합’ 등과 같은 키워드를 공유)과 G9(‘신호대잡음비’를 중심으로 ‘자모음비’, ‘무의미음절’ 등의 키워드를 공유)는 연결선이 두껍게 나타나 연결 정도가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연결된 두 그룹 간의 키워드들이 서로 함께 사용되어 하나의 연구 주제로 많이 활용되었음을 의미한다. 반면에 G4(‘이명’을 중심으로 ‘소리치료’, ‘이명장애지수’, ‘이명재활’ 등의 키워드 공유)는 G8(‘어음인지’를 중심으로 ‘역동범위’, ‘주파수중요함수’, ‘어음명료지수’ 등의 키워드 공유)과의 연결선이 얇게 나타나 연결 정도가 상대적으로 약하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이는 지금까지 두 그룹에 해당하는 키워드들을 서로 연계해서 진행한 연구가 많이 없었다는 의미이므로 향후 이와 같은 연결 정도가 약한 그룹에 해당하는 키워드들을 서로 연계해서 새로운 연구 주제로 활용해보는 것도 의미가 있다.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은 연구자가 연구 목적과 내용이 잘 드러날 수 있도록 제시한 키워드를 사용하기 때문에 연구 분야의 핵심 주제를 파악하는 데 유리하고, 키워드를 추출하고 의미 간의 관계망을 확인하는 과정에서 연구자의 주관적 개입 가능성을 최대한 줄일 수 있다(Oh et al., 2021).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2005~2022년 동안 발간된 ASR 학술지 논문의 키워드를 대상으로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여 객관적이고 거시적인 관점에서 연구동향을 분석했다는 점과 새로운 연구 방법을 적용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다만, ASR 학술지 논문에 사용된 키워드가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지만, 서로 다른 키워드로 사용된 경우가 많았기 때문에 키워드 정제 과정에서 어려움이 있었고, 이러한 부분이 분석 결과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으므로 결과 해석 시 참고할 필요가 있다. 이에 관련 분야에서 사용되는 주요 용어에 대한 정확한 의미 규정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마지막으로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은 핵심 주제어의 빈도를 분석하는 일종의 양적 연구이므로 ASR 학술지의 연구 내용에 대한 동향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기에는 한계가 있다. 그러므로 향후 연구에서는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과 함께 기존의 내용 분석에 근거한 질적 연구를 병행하여 심도 있는 고찰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한다.

Notes

Ethical Statement

N/A

Declaration of Conflicting Interests

There is no conflict of interests.

Funding

N/A

Author Contributions

Conceptualization: Soo Jin Cho, Tae-Gang Kim. Data collection: Soo Jin Cho, Tae-Gang Kim. Formal analysis: Soo Jin Cho, Tae-Gang Kim. Writing—original draft: Soo Jin Cho, TaeGang Kim. Writing—review & editing: Soo Jin Cho, Tae-Gang Kim. Approval of final manuscript: Soo Jin Cho, Tae-Gang Kim.

Acknowledgments

N/A

Figure 1.
Network visualization data for the entire keyword Audiology and Speech Research (ASR) journal.
asr-220085f1.jpg
Figure 2.
Cluster analysis results for Audiology and Speech Research (ASR) journal keywords.
asr-220085f2.jpg
Table 1.
Research status by year
Year Number
2005 10
2006 24
2007 23
2008 21
2009 13
2010 23
2011 24
2012 28
2013 18
2014 17
2015 29
2016 34
2017 41
2018 34
2019 38
2020 40
2021 37
2022 21

Number: number of research papers

Table 2.
Frequency of Keywords
Rank Keyword N
1 Hearing aid 59
2 Hearing loss 33
3 Noise 33
4 Cochlear implant 33
5 Auditory training 29
6 Tinnitus 28
7 Auditory rehabilitation 26
8 Word recognition 19
9 Otoacoustic emission 19
10 Signal-to-noise ratio 18
11 Children 17
12 Elderly 16
13 Sentence recognition 15
14 Hearing impairment 14
15 Sensorineural hearing loss 13
16 Speech recognition 13
17 Presbycusis 12
18 Aging 12
19 Gain 12
20 Stuttering 11
21 Hearing aid fitting 11
22 Noise-induced hearing loss 11
23 Auditory brainstem response 10
24 Speech audiometry 9
25 Audiology 9
26 Questionnaire 8
27 Children with hearing loss 8
28 Auditory steady-state responses 8
29 Test-retest reliability 7
30 Mild cognitive impairment 7
31 Hearing aid fitting formula 7
32 Quality of life 7
33 Compression threshold 7
34 Speech recognition threshold 7
35 Sound quality 7
36 Audiologist 7
37 Hearing threshold 7
38 Speech perception 6
39 Reliability 6
40 Compression ratio 6
41 Speech intelligibility index 6
42 Infant-toddler 6
43 Tinnitus Handicap Inventory 6
44 Cochlear implantation 6
45 Working memory 6
46 Occlusion effect 6
47 Hearing impaired 5
48 Monosyllabic words 5
49 Vowel 5
50 Bimodal fitting 5
51 Hearing aid satisfaction 5
52 Uncomfortable Level 5
53 Counseling 5
54 Sound therapy 5
55 Noise exposure 5
56 Sentence-in-noise recognition 5
57 Acceptable noise level 5
58 Psychometric function curve 5
59 Alzheimer’s Disease 5
60 Dynamic range 5
61 Loudness growth 5
62 Consonant perception 5
63 Band-importance function 5
64 Central auditory processing disorder 5
65 Most Comfortable Level 5
66 Vent 5
67 Meta-analysis 4
68 Gender 4
69 Speech-in-noise recognition 4
70 Confidence interval 4
71 Prediction interval 4
72 Communication 4
73 Cochlear implant system 4
74 Cochlear implant user 4
75 Rehabilitation 4
76 Central auditory processing tests 4
77 Hearing conservation program 4
78 Auditory evoked response 4
79 Familiarity 4
80 Standard 4
81 Army 3
82 Speech intelligibility 3
83 Nonsense syllable 3
84 Bimodal hearing 3
85 Hearing aid benefit 3
86 Fitting formula 3
87 Correlation 3
88 Pure tone audiometry 3
89 Puretone threshold 3
90 Smartphone application 3
91 Auditory temporal processing 3
92 Language ability 3
93 Mismatch negativity 3
94 Tinnitus rehabilitation 3
95 Recognition 3
96 Consonant-to-vowel ratio 3
97 Consonant 3
98 Intervention 3
99 Intellectual disability 3
100 Qualitative analysis 3
101 Executive function 3
102 Hearing screening 3
103 Korean evaluation scale for hearing handicap 3
104 Hearing status 3
105 Inclusive education 3
106 Korean monosyllabic digit 3
107 Korean version of Profile of Hearing Aid Benefit 3
108 Release time 3
109 Speaker variables 3
110 Environmental sound 3
111 Environmental sound recognition 3
Table 3.
Centrality analysis of keywords
Keyword DC BC CC EC
Hearing aid 35 1058.072 0.569 0.337
Hearing loss 29 714.285 0.527 0.250
Word recognition 26 570.936 0.507 0.253
Cochlear implant 24 607.079 0.527 0.221
Sensorineural hearing loss 23 303.754 0.484 0.241
Children 21 546.391 0.502 0.155
Signal-to-noise ratio 21 190.049 0.498 0.258
Auditory training 20 353.854 0.495 0.207
Auditory rehabilitation 20 338.108 0.510 0.184
Tinnitus 17 510.999 0.450 0.116
Noise 17 235.966 0.486 0.186
Sentence recognition 17 175.073 0.459 0.169
Speech recognition 16 196.057 0.437 0.126
Presbycusis 16 148.573 0.482 0.182
Elderly 15 301.904 0.471 0.129
Hearing aid fitting 14 298.444 0.433 0.121
Hearing impairment 13 367.738 0.459 0.100
Noise-induced hearing loss 12 120.711 0.444 0.115
Speech recognition threshold 12 95.578 0.398 0.074
Compression threshold 12 23.529 0.431 0.163
Speech audiometry 11 56.564 0.391 0.088
Hearing threshold 10 101.003 0.426 0.083
Sound quality 10 99.788 0.418 0.127
Release time 10 23.741 0.418 0.135
Consonant perception 10 18.383 0.431 0.140
Compression ratio 10 12.953 0.416 0.133
Communication 9 178.516 0.401 0.065
Aging 9 127.625 0.395 0.053
Consonant-to-vowel ratio 9 70.653 0.416 0.106
Nonsense syllable 9 70.653 0.416 0.106
Gain 9 46.099 0.415 0.096
Hearing impaired 9 14.926 0.418 0.126
Meta-analysis 8 95.464 0.382 0.041
Speech-in-noise recognition 8 54.171 0.423 0.084
Recognition 8 34.309 0.364 0.028
Monosyllabic words 8 29.377 0.364 0.054
Hearing aid fitting formula 8 12.191 0.388 0.094
Children with hearing loss 7 157.066 0.375 0.036
Auditory brainstem response 7 155.874 0.375 0.028
Dynamic range 7 28.487 0.395 0.059
Hearing aid satisfaction 7 26.541 0.412 0.075
Mild cognitive impairment 7 24.643 0.336 0.017
Speech perception 7 23.696 0.416 0.087
Loudness growth 7 12.033 0.392 0.062
Most Comfortable Level 7 11.059 0.386 0.060
Questionnaire 6 44.318 0.378 0.039
Counseling 6 36.881 0.416 0.084
Alzheimer’s Disease 6 23.856 0.344 0.019
Puretone threshold 6 20.952 0.398 0.058
Uncomfortable Level 6 12.028 0.385 0.049
Quality of life 6 11.389 0.421 0.079
Environmental sound 6 2.238 0.426 0.103
Reliability 5 130.042 0.339 0.016
Acceptable noise level 5 87.780 0.392 0.050
Vowel 5 35.894 0.322 0.028
Language ability 5 26.716 0.378 0.036
Sentence-in-noise recognition 5 20.506 0.360 0.045
Audiology 5 20.050 0.365 0.040
Executive function 5 18.462 0.379 0.038
Cochlear implantation 5 12.602 0.373 0.046
Working memory 5 11.484 0.398 0.054
Speech intelligibility index 5 10.508 0.395 0.050
Smartphone application 5 8.209 0.393 0.054
Prediction interval 5 0.000 0.358 0.047
Confidence interval 5 0.000 0.358 0.047
Stuttering 4 110.289 0.350 0.017
Auditory steady-state responses 4 77.074 0.355 0.026
Otoacoustic emission 4 38.491 0.364 0.021
Noise exposure 4 13.921 0.385 0.042
Central auditory processing disorder 4 13.148 0.379 0.030
Hearing status 4 13.077 0.354 0.016
Environmental sound recognition 4 8.416 0.395 0.046
Hearing screening 4 8.066 0.368 0.034
Infant-toddler 4 6.944 0.391 0.046
Band-importance function 4 6.009 0.384 0.042
Fitting formula 4 2.563 0.343 0.032
Psychometric function curve 4 0.983 0.352 0.030
Consonant 4 0.400 0.318 0.027
Vent 4 0.000 0.375 0.044
Occlusion effect 4 0.000 0.375 0.044
Intervention 4 0.000 0.310 0.011
Qualitative analysis 3 26.496 0.374 0.034
Speaker variables 3 1.260 0.321 0.020
Korean version of Profile of Hearing Aid Benefit 3 1.000 0.368 0.031
Correlation 3 0.250 0.294 0.007
Army 3 0.000 0.375 0.041
Hearing conservation program 3 0.000 0.375 0.041
Auditory temporal processing 3 0.000 0.365 0.037
Audiologist 3 0.000 0.353 0.032
Familiarity 3 0.000 0.347 0.027
Tinnitus rehabilitation 3 0.000 0.313 0.010
Sound therapy 3 0.000 0.313 0.010
Tinnitus Handicap Inventory 3 0.000 0.313 0.010
Mismatch negativity 2 24.526 0.335 0.016
Gender 2 6.337 0.285 0.004
Auditory evoked response 2 5.783 0.296 0.004
Korean evaluation scale for hearing handicap 2 4.025 0.326 0.011
Cochlear implant user 2 2.381 0.292 0.005
Inclusive education 2 1.736 0.364 0.026
Hearing aid benefit 2 0.000 0.365 0.027
Speech intelligibility 2 0.000 0.339 0.015
Rehabilitation 2 0.000 0.319 0.010
Bimodal hearing 2 0.000 0.304 0.010
Bimodal fitting 2 0.000 0.304 0.010
Cochlear implant system 1 0.000 0.346 0.016
Central auditory processing test 1 0.000 0.274 0.003
Intellectual disability 1 0.000 0.260 0.001
Pure tone audiometry 1 0.000 0.254 0.001
Test-retest reliability 0 0.000 0.000 0.000
Standard 0 0.000 0.000 0.000
Korean monosyllabic digit 0 0.000 0.000 0.000

DC: degree centrality, BC: betweenness centrality, CC: closeness centrality, EC: eigenvector centrality

REFERENCES

Ahn, H. A. & Yang, K. S. (2020). Research trends on the evaluation of lifelong education in Korea: Using both content analysis and network analysis for the recent 20 years. Journal of Lifelong Learning Society, 16(4), 171-199.
crossref
Cho, J. (2011). A study for research area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by network text analysi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28(4), 65-83.
crossref
Cho, K. L. & Kim, C. H. (2016). A study on the features and characteristics of knowledge structure of the Korean educational technology community: Focused on the comparison between the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and the journal of educational information and media through network text analysis.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32(3), 571-609.
crossref
Cho, N. O. & Cho, K. L. (2017). A study on research trend and knowledge structure on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through keyword network text analysis. Korea Journal of Counseling, 18(2), 1-19.
crossref
Choi, M. J. & Kim, M. S. (2015). The characteristic analysis of researches network for journal of the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Journal of the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54(4), 418-426.

Downe‐Wamboldt, B. (1992). Content analysis: method, applications, and issues. Health care for Women International, 13(3), 313-321.
crossref pmid
Heeks, R. & Bailur, S. (2007). Analyzing e-government research: Perspectives, philosophies, theories, methods, and practice. Government Information Quarterly, 24(2), 243-265.
crossref
Ju, H. J. (2020). A keyword network analysis on research in literature for early childhood. Th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20(18), 411-441.
crossref
Ju, S. H. & Lee, K. E. (2019). The perception of schizophrenia using big dat. Mental Health & Social Work, 47(4), 34-53.

Kang, Y. J., Yoon, S. J., & Moon, K. H. (2018). Analysis of journal of dental hygiene science research trends using keyword network analysis. Journal of Dental Hygiene Science, 18(6), 380-388.
crossref
Kim, S. H. & Chung, S. D. (2022). Exploring research trends in social welfare using the keyword network analysis: Focused on the KJSW during 2010~2019.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74(2), 291-316.
crossref
Kim, T. G. (2021). Analysis on research trends of 『The Study of Education for Hearing-Language Impairments』 using keyword network analysis. The Study of Education for Hearing-Language Impairments, 12(3), 87-103.

Kim, Y. H., Jeong, J. H., Kang, D. B., Park, K. M., & Kim, S. M. (2015). Trend analysis of research topics in 『Journal of Lifelong Learning Society』: Using network text analysis. Journal of Lifelong Learning Society, 11(1), 291-315.
crossref
Kho, J. C. (2014). A study on research trend in management of technology using keywords network analysis (doctoral dissertation). Seoul, Sungkyunkwan University.

Kho, J. C., Cho, K. T., & Cho, Y. H. (2013). A study on recent research trend in management of technology using keywords network analysis. Journal of Intelligence and Information Systems, 19(2), 101-123.
crossref
Ko, M. Y. & Yang, S. S. (2016). Content analysis of welfare tourism research trend in KCI journals. Northeast Asia Tourism Research, 12(4), 181-201.

Kwon, H. B. (2016). An analysis of meaning of education and research domain in educational research by using semantic network analysis.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6(1), 125-148.
crossref
Lee, H. S. (2005). Analysison on academic study trend in Korea in inclusive physical education. The Kore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44(1), 161-171.

Lee, J. H., Lee, J. Y., Cho, S. J., Park, S. I., Kim, J. D., Park, M. H., et al. (2017). A survey of educational environment for the accreditation of audiology and hearing sciences education. Audiology and Speech Research, 13(3), 193-208.
crossref pdf
Lee, J. H., Lee, K. W., Lee, J. H., & Bang, J. H. (2014). Glossary of Audiology (pp. 7-217). Seoul: Hakjisa.

Lee, S. S. (2014). A content analysis of journal articles using the language network analysis method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31(4), 49-68.
crossref
Lim, Y. K. & Yi, S. Y. (2021). Analysis of research trends through semantic network analysis method of domestic and overseas research on music and hearing impairment. Th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21(2), 639-663.
crossref
Lim, S. M., Yoon, H. J., & Bang, D. M. (2020). Research trend analysis in 『Korean Journal of General Education』 using semantic network analysis. Korean Journal of General Education, 14(1), 11-32.

Moon, S. I. & Nam, H. W. (2022). An analysis on the research trends in arts-psychotherapy before and after COVID-19 using keyword network analysis. Culture and Convergence, 44(2), 209-234.
crossref
NodeXL Korea. (2015). Catch Up with NodeXL (pp. 82-151). Seoul: Paradigmbook.

Oh, J. S., Jeon, B. J., & Son, S. M. (2021). Research trend analysis of occupational therapy using keyword network analysis: Focusing on the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29(2), 65-77.
crossref
Park, H. J. (2018). Analysis of research trends on hearing impairment through the keyword network analysis: 2007~2016. Journal of Speech-Language & Hearing Disorders, 27(4), 127-135.
crossref
Park, H. J. (2021). Research trends in cochlear implant using keyword network analysis and literature analysis from 2011 to 2018. Journal of Speech-Language & Hearing Disorders, 30(1), 103-113.
crossref
Park, H. W. (2005, July 6). KrKwic Program. Dr. Han Woo Park’s homepage. Retrieved from http://www.hanpark.net/index2.asp.

Park, H. W. & Leydesdorff, L. (2004). Understanding the KrKwic: A computer program for the analysis of Korean text.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6(5), 1377-1387.

Park, J. S. (2017). A study on the domestic research trends related with education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through a keyword network analysis.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 Rehabilitation Science, 56(2), 107-126.
crossref
Yang, J. H. (2019). Analysis of research trends on ‘The Journal of Korea Open Associ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using the language network analysis methods. The Journal of Korea Open Associ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24(1), 221-246.

Yang, K. S. & Lee, S. H. (2021). Analyzing the research trends on emotional & behavioral disorders: Focusing on 「Journal of Emotional & Behavioral Disorders」. Journal of Emotional & Behavioral Disorders, 37(1), 355-376.
crossref
Yi, S. Y. & Cha, J. K. (2018). The analysis on the trend of domestic researches related to Autism Spectrum Disorder (ASD) through keyword network analysis: Focusing on the researches in 2008~2017. Th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n Developmental Disabilities, 22(4), 207-222.

Yi, S. Y. & Kim, J. H. (2017). A study on research trends of the journal of intellectual disabilities using the keyword network analysis. Journal of Intellectual Disabilities, 19(1), 1-19.

Yi, S. Y. & Park, S. Y. (2019). Research trends in the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using the keyword network analysis.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26(1), 24-40.

APPENDICES

Appendix 1.

키워드 정제 목록

1차 정제 전 1차 정제 후
1 Biotinylated-dextran-amine, biotinylated-dextran-amine Biotinylated-dextran-amine
2 KID증후군, KID-증후군 KID-증후군
3 Song-control-system, song-control-system Song-control-system
4 객관적측정, 객관적평가 객관적평가
5 검사재검사신뢰도, 검사-재검사신뢰도 검사-재검사신뢰도
6 공기역학적평가, 공기역학평가 공기역학적평가
7 국제기능장애건강분류, 국제기능장애건강분류 국제기능장애건강분류
8 노인, 노인군 노인
9 단어인지도, 단어인지도 단어인지도
10 문장인지도, 문장인지도 문장인지도
11 문장인지검사, 문장인지도검사 문장인지도검사
12 반응방식, 반응양식 반응양식
13 스마트어플리케이션, 스마트폰어플리케이션 스마트폰어플리케이션
14 신생아청각선별검사, 신생아청력선별검사 신생아청각선별검사
15 어음명료도지수, 어음명료지수 어음명료도지수
16 어음인지역치, 어음인지역치 어음인지역치
17 어음청각검사, 어음청력검사 어음청각검사
18 연령별효과, 연령효과 연령별효과
19 일과성음유발이음향방사, 일과성이음향방사 일과성음유발이음향방사
20 자가평가설문, 자가평설문지 자가평가설문
21 청각손상, 청각손실 청각손실
22 청력손상, 청력손실 청력손실
23 청성뇌간반응, 청성뇌간유발반응 청성뇌간반응
24 청지각적평가, 청지각적평정 청지각적평가
25 초소형고막보청기, 초소형고막형보청기 초소형고막보청기
26 한국어판보청기이득평가설문, 한국어판보청기이득평가설문지 한국어판보청기이득평가설문
2차 정제 전 2차 정제 후
1 4점-GRBAS척도, 7점-GRBAS척도 GRBAS척도
2 청능재활, 청각재활, 청능재활
3 영유아의조기청능재활, 한국영유아청각재활 영유아청능재활
4 보청기, 맞춤형보청기, 비선형보청기, 비프로그램보청기, 외이도내수화기보청기, 주파수이동기능보청기, 초소형고막보청기, 개방적합보청기, 고막보청기, 골도보청기, 귓속형보청기, 다채널보청기, 디지털보청기 보청기
5 보청기적합공식, 적합공식 보청기적합공식
6 노인, 노년층 노인
7 소음하어음인지, 소음하어음인지, 소음하어음인지능력 소음하어음인지
8 영아, 영유아, 영유아
9 아동, 학령기아동, 초등저학년아동 아동
10 어음인지, 어음인지도 어음인지
11 어음인지역치, 어음인지역치검사, 어음청취역치 어음인지역치
12 단어인지, 단어인지검사, 단어인지도, 단음절인지도, 단어인지도검사, 어음재인도, 어음재인도검사 단어인지
13 청력손실, 청각손실, 난청 난청
14 실이삽입이득, 이득, 고주파수이득, 선호이득, 2cc-커플러이득, 기대이득 이득
15 보청기이득, 보청기착용이득, 양이이득 보청기착용효과
16 다화자잡음, 광대역잡음, 소음, 가우시안소음, 축제관광지소음, 환경소음, 항공기소음, 항공기소음도, 고소음, 고주파수대역통과소음, 교실소음, 군대소음, 대역소음, 배경소음, 백색잡음, 비가우시안소음, 복합소음, 비직업소음, 어음잡음 소음
17 백색소음상황, 소음환경 소음환경
18 대측소음, 대측자극소음 대측소음
19 쾌적수준, 쾌적역치강도수준, MCL 쾌적수준
20 음전위부정합, MMN 음정위부정합
21 고저-강세, 고저-패턴 고저
22 Stacked-ABR, Derived-band-ABR, 어음유발청성뇌간반응, 청성뇌간반응 청성뇌간반응
23 청성유발반응, 청성유발전위, 어음유발전위 청성유발반응
24 순차적양이인공와우, 양측인공와우, 인공와우 인공와우
25 Clarion, MED-EL, Nucleus-freedom, 인공와우시스템 인공와우시스템
26 인공와우이식, 인공와우이식술 인공와우이식
27 UCL, 불쾌수준, 불쾌역치 불쾌수준
28 골도전도순음청력검사, 골도청력검사, 공기전도순음청력검사 순음청력검사
29 노년기난청, 노인성난청, 노화성난청 노인성난청
30 고령화, 노화 노화
31 골도청성지속반응, 청성지속반응, 음장청성지속반응 청성지속반응
32 메타분석, 메타연구 메타분석
33 상담, 상담활동 상담
34 심리음향곡선, 심리음향기능곡선 심리음향기능곡선
35 청각장애아동, , 청각장애학생 청각장애아동
36 음량증가검사, 음량증가지각검사, 음량증가지각 음량증가
37 등골근반사역치, 음향반사역치 음향반사역치
38 이음향방사, 변조이음향방사, 변조이음향방사억제, 변조이음향방사잠복기, TEOAEs억제, TEOAEs억제반응, 일과성음유발이음향방사의억제정도, 일과성음유발이음향방사, 자발이음향방사 이음향방사
39 자음인지, 자음지각 자음지각
40 작업기억, 작업기억력 작업기억
41 전정재활, 전정재활치료 전정재활
42 주의력, 주의집중 주의력
43 주파수중요함수, 주파수중요기능 주파수중요함수
44 질적연구, 질적분석 질적분석
45 보청기적합, 청각보청기적합 보청기적합
46 청각처리장애, 중추청각처리장애 중추청각처리장애
47 청력검사, 청각평가 청력검사
48 친숙도, 친숙성 친숙도
49 평균순음청력역치, 순음평균역치 순음평균역치
50 표준, 표준화 표준
51 아동청능훈련, 청능훈련, 스크립트기반의청능훈련, 음악청능훈련, 폐쇄형청능훈련, 소음하청능훈련 청능훈련
52 청각선별검사, 신생아청각선별검사 청각선별검사
53 문장인지, 문장인지도, 문장인지도검사, 그림판문장인지도검사, 매트릭스문장인지도검사, 문장인지
54 소음하문장인지, 변동형소음하문장인지평가, 소프트웨어기반소음하문장인지 소음하문장인지
55 바이모달청각, 바이모달청취 바이모달청각
56 바이모달적합, 바이모달적합프로토콜 바이모달적합
57 역동범위, 어음역동범위 역동범위
58 조기재활, 조기중재 조기중재
59 환경음인지, 환경음인지도, 환경인지 환경음인지
Appendix 2.

ASR 학술지의 2회 이하로 출현한 연구주제 키워드

2회 출현 키워드
객관적평가, 고저, 공기역학적평가, 국제기능장애건강분류, 근거기반실무, 금화조, 급성음향외상, 기질, 난청노인, 난청아동, 뇌졸중, 단기기억, 단어유창성, 단어찾기행동, 담화, 대면이름대기, 대측소음, 돌발성난청, 등골근반사, 만족도, 말소리연장, 말소리장애, 말초청각장애, 메니에르병, 문단낭독, 문장인지역치, 바우처제도, 바이모달, 반응양식, 변연계, 보청기시장, 보청기이득평가설문, 비음치, 산화스트레스, 생성이름대기, 선별검사, 선택도, 소음관리, 소음환경, 순음평균역치, 시간분석력, 시간압축, 시간적청각정보처리, 신경가소성, 실이측정, 어지럼증, 어휘, 언어, 언어인지, 언어처리방식, 언어학습장애, 연결발화, 연구동향, 연구의질, 연령, 연령별효과, 예측변인, 요인분석, 우울, 운율, 원심성신경계, 유양돌기, 음소빈도, 음악훈련, 음향반사역치, 이명장애, 이명장애설문지, 이명재훈련치료, 이명주요기능설문지, 이분청취검사, 이음절어, 인공와우착용아동, 인지기능, 인지훈련, 일관성, 일상생활문장, 읽기, 자가평가설문지, 자격증, 자극속도, 자음변별, 잠복기, 장기평균어음스펙트럼, 장애인실태조사, 전기음향교정, 전달함수, 전정재활, 절단주파수, 조기중재, 조음, 조음속도, 조음지수, 주관적기억장애, 주의력, 주파수분석, 중증도, 진폭, 차폐, 청각기억, 청각및의사소통행동발달, 청각서비스, 청각수행력, 청각작업기억, 청각장애지수, 청각치료지원서비스, 청각행동, 청력, 청력검사기의교정, 청성중기반응, 청지각적평가, 체계적문헌고찰, 체성감각계, 체크리스트, 클리어스피치, 태도, 폐쇄형, 피치, 학령기, 한국표준문장표, 한국표준일반용이음절어표, 항산화제, Biotinylated-dextran-amine, GRBAS척도, KID-증후군, Song-control-system
1회 출현 키워드
가로세로단어퀴즈, 가상현실, 가청도의동질성, 가치(관)이나선호도, 감각기억, 감정발화, 강강격단어, 강도, 강원, 강의음성, 개방적합, 개별위상변화, 개인정보, 개인청각보호장구, 객관식형문장, 객관적기억력, 객체높임법, 거시구조, 건강돌봄, 건강수준, 결과측정법, 경구투여, 경도이명, 경도지적장애성인, 경도지적장애청소년, 경두개직류전기자극술, 경쟁조건, 고막운동도검사, 고막천공, 고음역압축, 고주파대역통과필터, 고주파수청력손실, 고차원적인지, 골도전도, 골도청력, 골부길이, 공간처리, 공명장애, 공항주변, 과다비성조절기, 과제실시시간, 과체중, 관리시스템, 관자놀이, 광대역, 괴사, 교대자극법, 교수효율성, 교실음향, 교육계학생, 교육환경, 교차소음자극, 교차억제, 구강운동능력, 구강운동훈련, 구문복잡도, 국가치매정책, 국내영유아의발성및조음발달목록, 국립특수교육원말지각발달검사, 국어교과서, 국제표준보청기효과지수, 군집, 군청력프로그램, 귀꽂이, 귀덮개, 귀마개, 귀생체역학, 그룹치료, 그림자극, 근접어휘활성모형, 급성, 기기고장, 기도전도, 기류량, 기본문장, 기억, 기억력, 기억성경도인지장애, 기억지연, 기억처리과정, 기준어음인지역치레벨, 기준음압레벨, 길이, 꽉찬적합, 나노구조, 낙인, 난청인을위한보청기사용교육, 난청인의청능재활, 난청핸디캡, 난타, 내림프수종, 내면적특성, 내부기기고장, 내용, 내측와우올리브삭, 노인돌봄서비스, 노인보건의료서비스, 노인복지센터, 노인우울, 노인일상건강생활지수, 노인정신건강상태, 농, 높임법, 뇌, 뇌가소성, 뇌교경색, 뇌전도, 뇌출혈, 누리과정, 다문화가정의아동, 다채널, 다채널압축, 다층성장모형, 다화자, 단기지속자극음, 단속적지각, 단어간가청도의동질성, 단어정의하기, 단음절인지역치, 단음절인지오류패턴난청유형, 담화산출, 당뇨병, 당뇨병성신경병증, 대뇌피질청성유발전위, 대역가청함수, 대중매체, 대측억제, 대학생, 대화음레벨, 독화소, 돌기, 동음이의어, 동적환자흐름모델, 동질성, 동측소음, 두감각기관저하, 두대안강제선택, 두채널이음향방사시스템, 듣기경험, 듣기발달, 듣기발달표, 듣기평가, 등가성, 등가소음, 디지털신호처리, 레이저진동계, 마스크, 마우스, 마우스모델, 마음이론, 마음읽기능력, 마음챙김, 마찰스펙트럼신호, 마찰음, 마케팅, 만족, 말기제, 말더듬비율, 말더듬성인, 말더듬중증도, 말더듬치료, 말뭉치, 말용인도, 말운동능력, 말지각검사, 말추적, 말통제조절능력, 매핑, 멜로디, 멜로디지각검사, 명료어음, 명사대치오류, 명제분석, 모바일어플리케이션, 모음공간, 목표화자성별, 문맥예측단서, 문법오류, 문장검사, 문장구조, 문장길이, 문장따라말하기, 문장순서화, 문장이해력, 물리적교정, 미국청각학회, 미디어문식성, 미세구조, 미용, 바이모달아동, 바이모달혜택, 바이올린, 반응산소종, 반응질소종, 반향시간, 발달경향, 발달장애, 발달재활서비스, 발성개시시간, 발성역치기류, 발성역치력, 발성역치압력, 발성패턴, 발화유형, 방음벽, 방향감지오류, 방향성마이크, 배경음악카페음악, 배경화자수, 배음구조, 백질신경경로, 번역본, 법적분쟁, 변조주파수, 변조지수, 변환기, 보안시스템, 보완대체의사소통, 보청기구조변경, 보청기사용노인, 보청기사용자, 보청기선택, 보청기센터, 보청기시장동향, 보청기오리엔테이션-DVD, 보청기자격증, 보청기적합관리표준, 보청기착용률, 복합배음, 복합변조음, 복합숫자확장, 부모용아동청각구화수행평가, 불안, 브로카실어증, 비경쟁조건, 비교-대조, 비만, 비용효용성, 비유창한어절, 비장애유아, 비즈니스모델, 비행시간, 사건관련전위, 사용성평가, 사회적네트워크, 사회적성향, 사회적지지, 산소기반항산화제, 삼출성중이염, 삼킴, 상담정보, 상대높임법, 상승효과, 상향식처리, 상황, 서열위치, 선천성농성인, 선호청취음량, 설명담화, 설문조사, 성대진동개시시간, 성별효과, 성심농아재활원, 성인, 성차, 성취동기역량, 세계보건기구삶의질척도단축형, 세계보건기구청각장애등급시스템, 세탁, 세포자연사, 소리나는책, 소리방향감지, 소리방향성, 소리치료애플리케이션, 소음공해, 소음노출기준, 소음노출평가, 소음문장, 소음방지프로그램, 소음속말지각, 소음지도, 소음표지제, 소음하말지각력, 소음하문장이해, 소이증, 손잡이, 수행프로파일, 수화사용정도효과, 순음, 순음청력검사기, 숫자간간격, 숫자확장, 쉰음성, 스리랑카, 스마트폰을이용한청능치료, 스페셜올림픽, 스페인어사용, 스펙트럼, 시각적문식(문해)성, 시간-주파수변환압축, 시간-주파수분석, 시간변화, 시간압축어음, 시간압축어음검사, 시간적처리검사, 시간적처리능력, 시력손실, 시청각정보, 신경압박, 신경추적, 신뢰도및타당도, 신생아ㆍ전정유발근전위검사, 신호가중치전략, 신호평균화기법, 실어증, 실이대다이얼차, 실이대커플러차, 실이음압레벨, 실존적프로그램, 실행기능, 심리요소, 심리음향학적측정, 심리적측정, 쓰기, 쓰기오류, 쓰기통로, 아날로그신호처리, 아파트공동주택, 안드로이드, 알츠하이머형치매, 알코올, 암호화, 압축률, 압축시간, 애착육아, 양이차폐레벨차이, 양이청취, 양이통합검사, 어음난이도, 어음스펙트럼, 어음신호가중치, 어음이해, 어음잉여성, 어음자질, 어음지각, 어음처리, 어음청각검사기, 어휘유창성, 어휘적영향, 어휘통로, 언어발달, 언어변별, 언어장애, 언어재활, 언어재활사, 언어적능력, 언어치료, 언어통제유형, 언어학적비유창성, 엔트로피, 역경사형, 역방향숫자확장, 역치, 연구방법, 연속발화, 연속적비교법, 연속적지각, 열세의미, 영유아문장, 영유아발달, 영유아발성발달, 영유아의조기청능재활, 영유아의청각통합능력검사, 영유아청능재활프로그램, 예측인자, 오류율, 오류패턴, 온도, 와우, 와우역학, 외이도개방적합, 외이도공명, 외이도내수화기, 외이도폐쇄적합, 용어, 우세의미, 원격청각, 원인-결과, 위양성, 유소아단어인지, 유지효과, 유창성증진상황, 유한요소모델, 육군항공조종사, 육성, 융복합수업, 음량매칭, 음량평형, 음색, 음색지각검사, 음성개시시간, 음성대화, 음성레벨, 음성장애, 음성장애관련삶의질, 음성장애환자, 음성전달지수, 음소간변별적길이차이, 음소지각거리, 음소지각검사, 음소지각유사성, 음소표상, 음악, 음악감상태도, 음악감상태도및만족도설문지, 음악듣기훈련, 음악요소, 음악자극, 음악장르, 음악재활프로그램, 음악지각, 음악지각검사, 음악치료, 음악효과, 음악훈련프로그램, 음압수준, 음운복잡성, 음운통로, 음장소음하문장인지도검사도구의검증, 음정위부정합, 음조매칭, 음질평가, 음치, 음향음성학, 음향학적특성, 의미구어유창성, 의미론, 의미연상과제, 의미지식, 의사소통관련삶의질, 의사소통삶의질, 의사소통수준, 의사소통적, 의사소통전략, 의사소통행동, 이간감약, 이름대기, 이름대기능력, 이명강도, 이명규모설문지, 이명규모지수, 이명기능지수, 이명도, 이명모델, 이명발생기, 이명설문지, 이명신경메카니즘, 이명연구선도회, 이명의기전, 이명차폐, 이명치료옵션, 이명핸디캡설문지, 이명협회, 이명활동치료, 이물감, 이분숫자청취검사, 이야기검사, 이야기다시말하기, 이야기답변, 이야기문법, 이야기생성, 이야기회상, 이어폰, 이어폰의삽입정도, 이어폰종류, 이음절어표, 이차산화폭발, 인공와우착용군과보청기착용군비교, 인공와우착용아동부모, 인공와우착용혜택, 인식, 인증, 인지-언어, 인지-언어적변화, 인지-언어적저하, 인지-언어적중재, 인지-의사소통, 인지능력, 인지오류, 인지재활, 인지적, 인지행동치료, 일반용한국표준문장표, 일반질환, 일반초등학교대상군, 일본어마찰음, 일본어모음, 일상생활청각행동, 일상회화수준, 일시적반응, 일음절인지, 일측성/편측성난청, 일측성및양측성자극, 임계대역, 임계주파수대역, 임상실습, 임상적전문성, 임상현장경험, 잉여정보변화, 자-모음음절, 자가보고, 자극변별, 자극음, 자극제시레벨, 자극주파수, 자기보고, 자기보고식평가, 자모음, 자연음, 자원축소알고리즘, 자음분포, 자음지각평가, 자음혼동, 자조기술, 작업기억중재, 잔류억제, 장기기억, 장난감, 장노년기, 장애수용태도, 장애에대한인식, 장애유아, 장애이해프로그램, 장애체험, 장해, 재정렬, 재활복지서비스, 재활프로그램, 저음역압축, 저주파대역통과필터, 저주파수, 저차폐패턴, 저체중, 적정도, 적합, 전극부착위치, 전기음향자극, 전기잡음, 전두부, 전두엽-집행기능, 전이효과, 전정기관, 전정유발근전위, 전정장애, 전체말속도, 전통육아, 전화기사용, 전화상담, 전화어음, 전환, 절대전달함수, 접근제어, 정보단위, 정보자원이용, 정상음성, 정상인, 정서이해, 정서적교류, 정서적반응, 정수리, 정적부적정서척도, 제2언어, 조음교대운동(DDK), 조음복잡성지표, 조음음성학, 조음치료, 종단분석, 주관적기억력, 주관적기억호소, 주관적말더듬선별, 주관적설문, 주관적이명, 주관적이명치료, 주관적인지-언어평가, 주관적체크리스트, 주관적측정, 주성분분석, 주체높임법, 주파수, 주파수미세구조, 주파수변조, 주파수별청력역치, 주파수압축, 주파수압축비, 주파수압축역치, 주파수여과, 주파수정보, 주파수특성, 주파수패턴검사, 주파수하강, 중년, 중대뇌동맥, 중앙통합능력, 중이, 중이검사, 중이근, 중이질환, 중추청각처리장애선별검사, 증폭역치, 증폭효과, 지리정보시스템, 지속시간, 지속적반응, 지식, 지적장애학생, 지표, 지필형설문지, 직무능력표준, 직무만족도, 직업상담사, 직업적소음성난청, 직업추천, 직장생활, 진단, 진폭변조음, 질소기반항산화제, 집단변별력, 집중, 차단지수, 착용효과측정, 첨도측정법, 청-시자극, 청각-구화법, 청각관리, 청각단기기억, 청각단서, 청각문자자극, 청각보조기기, 청각시스템, 청각신경병증, 청각역치차이, 청각장애영유아, 청각장애인, 청각장애장노년기의삶의질, 청각처리능력평가, 청각케어, 청각통합능력검사, 청각학과인증, 청각핸디캡, 청각행동발달, 청능재활상담, 청능재활서비스모델, 청능재활서비스프로그램, 청능재활평가, 청능평가, 청능평가와관리, 청능훈련용어플리케이션, 청능훈련프로그램, 청능훈련효과, 청력검사, 청력보장구, 청력보존관리, 청력보호, 청력보호인식, 청력손실상태, 청력손실에대한태도설문지(ALHQ), 청력손실종류, 청력역치변화, 청력평가, 청신경종양, 청취노력, 체온, 체질량지수, 초고령층, 초기발성및조음발달, 초등학교, 초중종성음소, 최대출력, 최상의연구근거, 추론, 축제관광지환경음, 출력강도, 취업, 취업준비, 치간음화, 치료교육, 치매, 카바마제핀, 카툰, 캡스트럼, 캡스트럼분석, 컴퓨터형설문지, 코로나20, 타당도, 태도변화, 턱각도, 통일성, 통증, 통합학급, 특발성두개내고혈압, 특수교육, 특수학교대상군, 패러다임, 팬데믹, 편이저잉여성검사, 평균문장길이, 평균음운길이, 평균형태소길이, 평생교육과정, 폐쇄적합, 포만트주파수, 프로그램, 플랫폼, 피치지각검사, 피코스(PICOS), 피크간등가음압레벨, 하향식처리, 학과인증시스템, 학령기언어장애아동, 학령기용음소지각검사, 학령기용한국표준문장표, 학령기용한국표준어표, 학령전기, 학령전기용한국표준문장표, 학습전이, 한국, 한국독화소체계, 한국어, 한국어-Matrix-문장검사, 한국어-어음청각검사, 한국어번역판이명불편감척도, 한국어와영어의장기평균어음스펙트럼비교, 한국어유의미단음절어, 한국어음, 한국어이분어음배치검사(KSSW), 한국어파열음, 한국어판축약보청기이득평가설문, 한국어평마찰음‘ㅅ’, 한국어표준단음절어표학령전기용어음표, 한국영유아청능재활, 한국유의미단음절어, 한국인, 한국지역사회건강조사, 한국판웨스턴실어증검사-개정판, 한국표준일반용단음절어표, 한국표준일반용문장표, 한국형언어공간음질청취평가설문지, 한국형영유아청각언어인지재활, 한국형청각장애평가지수, 한림청각연구소- 버전1, 합독상황, 해석본, 행동학적교정, 혀압력, 혈관성치매, 협대역, 형태소인식능력, 혼동음소, 혼합점, 화용언어능력, 화자간성별차이, 화자간위치차이, 화자의존도, 확산텐서이미지, 환경법, 활, 활동참여, 회피정도, 후천성난청, 휴대용음향기기, 흡음지수, 히든난청, 1000Hz, 120채널, 2010개정, 2AFC, 4-OHPBN, 4-hydroxy-2-nonenal(4-NHE), 4급부정교합, 678Hz, ALHQ, AMA-순음청력검사기, AVS, Acoustic-change-complex, BMLD, Biomarkers, CAPE-V, CHAMP, CI+HA, COIS, Cone-beam-geometry, Current-steering, Derived-band-ABR, Developmental-weighting-shift, Distorted-Tunes-Test(DTT), ERP, F2시작전이신호, FAIR-검사, FM-system, Field-L, Field-L2, GDT, GHABP, GSI61-청력검사기, HAG-K-v20, HHIA, HHIE, HINT, HVc, Head-mapping, ICF코어셋, IOI-HA, Japanese-pitch, K-COSI, K-HINT, K-IOI-HA, K-SADL, K-SSQ, KDHI, KESHH, KONA, KSPIN, Ketamine, Ling7, LittlEARS®-Auditory-Questionnaire, MarkeTrak, Markov-신호처리과정, NAC, NAL-R증폭, Na, Natural-speech-stimulus, Nb, Nitrotyrosine, Olivocochlear-system, Oscillator-placement, P1-N1-P2-complex, PHAB, PHAP, Pa, Pb, S-D-program, SADL, SAEVD-R, SF-37, SNS-쓰기, SOT, SSQ, Spectral-iQ, Speechmap, Stacked-ABR, Stark-Assessment-of-Early-Vocal-Development-Revise, Static-force, TMJ, Tinnitus-Cognition-Questionnaire, Tinnitus-Disability-Index, Tinnitus-Questionnaire, Tinnitus-Reactio-Questionnaire, Two-alternative-forced-choice, VAS, Visual-image, Within-channel-GDT, X-ray-micro-CT, fMRI, somatictinnitus모델.
TOOLS
PDF Links  PDF Links
PubReader  PubReader
ePub Link  ePub Link
XML Download  XML Download
Full text via DOI  Full text via DOI
Download Citation  Download Citation
  Print
Share:      
METRICS
0
Crossref
0
Scopus
2,035
View
58
Download
Related article
Editorial Office
RN. 8602, Hallym University,
1 Hallymdaehak-gil, Chuncheon-si, Gangwon-do 24252, Korea
TEL: +82-70-8274-4268   FAX: +82-33-256-3420   E-mail: audiologykorea@gmail.com
About |  Browse Articles |  Current Issue |  For Authors
Copyright © Korean Academy of Audiology.                 Developed in M2PI